[책과 생각] 정인경의 과학 읽기
뉴 사이언티스트 외 지음, 김정민 옮김/한빛미디어(2018) 인공지능의 목표는 인간을 향하고 있다. 인간처럼 생각하고 추론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계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 200년 전, <프랑켄슈타인>에서 등장한 ‘인간을 본뜬 피조물’은 컴퓨터의 발명으로 실현되는 듯하다. 언젠가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앞서는 ‘특이점’이 올 것이라는 예측이 쏟아지고 있다. 기대와 우려가 섞인 이 예측은 1956년 인공지능이라는 용어가 나온 이래로 꾸준히 제기되었다. 지난 70여년간 인공지능의 역사는 기계와 인간의 공존에 관한 이야기다. 인공지능이 왜 만들어졌을까? 이 질문을 바꿔 말하면 ‘인간은 왜 인공지능을 만들려고 할까?’이다. 이렇게 인간의 욕망이 개입하는 지점에는 인문학적이고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인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이 의미하는 것을 설명하기 어렵다. <기계가 어떻게 생각하고 학습하는가>는 이러한 본질적인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닮았을까? 기계가 인간을 지배하는 것이 가능할까? 인공지능의 진정한 위험은 무엇일까? 이 책의 공저자로 참여한 토비 월시 등은 인공지능의 장밋빛 미래에 비판적 목소리를 낸다. 특이점의 도래를 예측하는 이들과는 대척점에 서서 ‘인공지능의 겨울’이 올 수 있다고 예고한다. 먼저 구체적인 개발 사례를 통해 기계 지능의 작동 방식부터 파고들어 간다. 기계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알파고로 잘 알려진, 머신러닝 기법 중에 딥러닝은 뇌를 모방한 ‘신경망’이라는 기술에 기초한다. 현재로는 가장 나은 결과를 보여주지만, 이 새로운 기계 지능은 데이터에 의존한 통계 기술을 응용한 것이다. 사실 이것은 인간의 사고방식을 닮은 지능이 아니다.
아라이 노리코 교수는 2011년부터 지금까지 ‘도로보군’이라고 이름 지은 인공지능을 자식처럼 키우면서 도쿄대학에 합격시키는 것을 목표로 도전해온 수학자다. 7년이 지나자 도로보군은 전체 수험생의 상위 20%에 해당하는 우등생으로 성장했다. 시험문제를 풀고 있는 인공지능 도로보군. 사진 도쿄대학교, 해냄출판사 제공. 출처 <대학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