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11 17:17 수정 : 2005.03.11 17:17

미니마 모랄리아 \

자본의 꿀물에 취한 삶에 저항하라

“‘아우슈비츠 이후에도 여전히 시를 쓸 수 있는가’라는 (아도르노의) 질문은, ‘수영장의 안락의자에 누워 아도르노를 읽는 것을 참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자리를 내준다.” 문화비평가 프레드릭 제임슨이 쓴 이 말은 테오도어 아도르노(1903~1969)의 글들이 안온함에 중독된 현대인들을 가혹하게 찌르는 불편의 언어임을 암시한다. <미니마 모랄리아>는 2차대전 말기 미국 망명 중에 쓴 에세이들을 모은 책이다. 친구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함께 쓴 <계몽의 변증법>의 후속작이자 그 주제의 헐거운 변주라고도 할 수 있다. 153편의 에세이들은 결혼·사랑·이혼·노동·주거·문화·산업·지식 따위 온갖 주제들을 자유롭게 건드린다. 형식은 가볍지만 내용은 한없이 무겁다. 자본주의 체제의 부속물로 전락해 삶의 본디 모습을 잃어버리고도 거기에 의문을 던지지 않는 이 파편화한 인간 현실을 그는 본다. 수단이 목적으로 뒤집힌 세상, 그 세상에서 자본이 주는 꿀물에 취해 사는 하루살이 인생, 이 참혹한 세계에서 아도르노는 ‘순응’이 아닌 ‘저항’의 방식으로 ‘최소한의 도덕’(미니마 모랄리아)을 고민하는 글을 쓰는 것이다. 고명섭 기자 michael@hani.co.kr

베트남 민중들이 들려주는 삶의 기록

시간은 말이 없다. 다만 그 시간을 견뎌낸 사람이 말을 할 뿐이다. 2002년부터 3년간에 걸쳐 베트남 하노이에 사는 11명의 ‘민중’을 만난 작가가 그들의 얘기를 입말로 빌어 기록한 ‘민중의 역사’다. 작가가 만난 이들은 베트남의 역사를 진보와 보수, 혹은 발전과 퇴보 같은 단어로 나누지 않는다. 그저 자신이 평생 살아온 삶에 대한 기억을 전쟁이나 ‘도이머이’(베트남 개혁정책)를 기준삼아 앞뒤로 나눌 뿐이다. 평생 진국을 뽑아내며 하노이 최고의 ‘퍼’(베트남국수)집을 꾸려온 칠순의 장인, 부르주아 반동계급 출신의 작곡가 아버지와 혁명가 집안의 성악가 어머니 사이의 딸, 그리고 폭격소리를 들으면서 자란 화가, 땅을 지키는 데 평생을 바친 팔순의 할머니는 자신들이 살아온 삶의 기록을 한 이방인 여성에게 들려준다.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인들이 무기를 들고 들어갔다 나온 뒤 다시 돈을 들고 베트남을 찾고 있다는 사실을 이들은 안다. 하지만 이들은 목숨을 부지하기조차 어려웠던 지난날에도 쌀과 향 어느 것도 포기하지 않았다는 자부심으로 여전히 삶을 이어간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우리는 모두 김응용에게 속았다”

퉁실한 체격과 어눌한 말투, 가끔 제 성을 못 이겨 더그 아웃 의자를 때려부수기도 하는 김응용 삼성 라이온즈 사장. 프로야구 한국 시리즈를 10차례나 거머쥐고, 야구 선수 출신으로는 처음 야구단 최고 경영자에 올랐지만 그의 인상은 ‘무식한 코끼리’였다.

그러나 10년 동안 야구 담당기자로 현장을 누빈 지은이 이영만 <경향신문> 편집국장은 “우리는 모두 김응용에게 속았다”고 말한다. 여우란다. 제갈공명이고 조조란다. 김응용의 모든 행동들은 자신의 원칙 아래 철두철미하게 계산된 것이다. 한때 최고의 투수 선동렬을 패전처리로 마운드에 올린 것도, 심판에게 막무가내로 대든 것도 확실한 셈이 다 돼 있었기 때문이란 것.

지은이는 “야구는 몇 년전 경기까지 복기가 되는데 자동차는 아침마다 어디 세웠는지 헤매곤 한다”는 김응용을 승리로 돌진하는 냉철한 ‘필드의 마에스트로’라고 이름 붙인다. 인색한 칭찬과 침묵, 밑바닥까지 선수를 뭉갠 뒤 장악하는 뚝심, 철저한 원칙 고수 등은 시대에 역행하는 듯, 결국 시대를 지배하는 김응용 카리스마다. 김응용식 경영철학이 생생한 야구 일화들과 어우러져 소개된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