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의 역사 교과서
|
한국은 중국·일본에 이중잣대 교류 활성화·통합 교과서 필요 %%990002%% 실제 각국의 역사 교과서들은 그 내용이나 서술방식, 분량면에서 그야말로 제각각이며, 그런 차이의 이면에는 각국의 역사인식만이 아니라 국제적 정치·경제구조의 역학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령 일본의 식민지배와 아시아 침략에 대해 일본이 담담하게 기술하는 편인 데 비해, 중국의 경우는 ‘강간’ 같은 용어까지 그대로 쓰면서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다룬다. 2차대전 당시 일본에 점령당했던 싱가포르는 강경하게 일본의 과오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다른 동남아시아 나라들이 일본 경제력에 의존하는 현실 때문에 조심스럽게 다루는 것과 달리 튼튼한 경제력이 바탕이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유럽에서 일본같은 존재인 독일의 역사교과서는 1차대전 참전이나 나치의 만행 같은 역사적 문제를 히틀러 등 일부 정치가나 지배자의 행위로 보지 않고 가능한 한 국민 전체의 문제로 다뤄 책임 회피를 막는 철저함을 보여준다. 그러면 한발짝 떨어져서 보는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어떤 평가를 받을까? 일본인 지은이들은 우리 역사교과서가 철저한 민족주의사관으로 무장해 이중적 잣대로 중국과 일본을 다루는 ‘감정적 서술’에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990003%% 책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례들을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고 ‘역사’ 그리고 ‘교과서’란 것에 대해 생각해봐야 할 여러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두 지은이들은 일본 역사교과서가 극우주의 말고도 서구중심 사관에 물들어 이웃인 아시아쪽으로 눈을 돌리지 않는 점을 통렬하게 지적한다. 또한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외는 것이 역사교육이라고 생각하는 일본의 교육현실를 비판하는 한편, 국가가 교과서를 관리·검정하는 ‘교과서 절대주의’의 문제도 함께 짚고 있다. 이런 지적은 교과서의 구조적 차원에서 일본 방식을 넘지 못하고 있는 우리 교육현실에도 그대로 적용될 법하다. 구본준 기자 bonbo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