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08 19:10 수정 : 2005.04.08 19:10

아니 에르노 소설 ‘집착’출간
내가 버린 그에게 새 애인이…
충격적 소재·날선 감정 ‘꿈틀’

<단순한 열정>으로 잘 알려진 프랑스 작가 아니 에르노(69)의 2002년작 소설 <집착>(정혜용 옮김, 문학동네)이 번역 출간되었다.

아니 에르노의 대표작 <단순한 열정>이 찬탄과 논란을 함께 불러일으킨 것은 선정적으로 보일 정도의 충격적인 소재, 그리고 그 소재를 다루는 뻔뻔스러울 정도로 솔직한 글쓰기 태도 때문이었다. 초로의 대학 교수인 작가 자신이 연하에다 유부남인 동유럽 외교관을 상대로 벌인 열정적인 사랑의 기록이 바로 <단순한 열정>이었다.

<집착>은 <단순한 열정>의 작가가 여전히 날선 감정과 녹슬지 않은 글쓰기 감각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소설에서 ‘나’는 6년간의 관계를 끝내고 헤어진 연하의 남자가 새로 사귄 여자에게 새삼스럽게 맹렬한 질투에 사로잡히는 역할을 맡는다. 제 편에서 싫증이 나서 헤어지게 된 남자의 새 여자에게 질투를 느낀다는 것은 어느 모로 보나 정상적이거나 합리적인 노릇은 아니다. 그러나 그런 식의 ‘이성적인’ 판단은 주인공이 빠져든 감정을 설명하거나 그 고통스러운 상태에서 벗어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주인공은 어떤 의미에서 자초한 것이나 마찬가지인 그 고통을 솔직히 기록할 따름이다. 이 ‘피학 취미’의 인물은 “나는 생의 평온하고 유익했던 몇몇 순간보다도 그 고통을 더 사랑할 것”(50쪽)이라고 호언한다.

고통을 초래한 것이 자기 자신이었던 만큼 거기에서 벗어나는 것 역시 어디까지나 자신의 힘에 의할 수밖에 없다. 고통과 혼란의 얼마간이 지난 뒤 주인공은 마침내 남자에게 최종적인 결별의 편지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감정은 정리됐고, 일상은 다시금 평온을 되찾았다. 그렇다면 지난 고통의 시간은 무익했거나, 심지어 유해했던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그에게는 고통의 대가로 얻은 글이 남았다.

“글쓰기는 더이상 내 현실이 아닌 것, 즉 길거리에서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나를 엄습하던 감각을 간직하는 방식, 그러나 이제는 ‘사로잡힘’이자, 제한되고 종결된 시간으로 변해버린 그것을 간직하는 방식이었다.”(68쪽)

최재봉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