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철/ 녹색평론 편집/ 발행인
|
윤리의식 부재 비판도 가능 무병장수 현실 된다면 가공할 디스토피아일 것 국내의 한 연구팀이 배아줄기세포 연구라는 이른바 첨단 생명공학 분야에서 또다시 선구적인 업적을 세웠다고 해서 지금 한국사회는 온통 흥분의 도가니가 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은 그 연구가 구체적으로 자기들에게 어떤 이익을 어떻게 가져다줄 것인지 아무런 이해도 없이 덮어놓고 환호하고 있다. 아마도 이번 연구의 성과로 한국인들의 국제적 위신이 크게 높아졌다는 의식이 이런 분위기의 바탕에 깔려 있는지 모른다. 게다가, 이 연구의 결과로 앞으로 막대한 부가가치가 생겨나서 한국의 경제성장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될 거라고 하지 않는가. 연구 책임자가 어느새 민족의 영웅이 되고, 따라서 그에게 국가 최고급의 경호를 포함한 온갖 특혜조치가 강구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 말할 것도 없이, 이것은 이 연구가 조만간 난치병 극복에 획기적인 의료기술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난치병 환자나 그 가족들에게는 아마도 이보다 더 큰 복음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는 허다한 문제가 내포되어 있음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실제로 이 연구가 쉽사리 인간복제로 이어질 위험성은 길게 말할 필요가 없지만, 그동안 제기되어온 연구방식 자체의 비윤리성도 결코 가벼운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이 연구는 사람의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서 맹아상태의 인간의 초기생명을 ‘재료로’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따져 보면 인간 공동체의 가장 기초적인 도덕적 기반을 훼손하는 행위일 수 있다. 이른바 문명국가들에서 생명윤리의 이름으로 이런 종류의 연구에 일정한 제약을 가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번의 과학기술적 ‘쾌거’는 그러한 윤리의식 혹은 윤리적 규제의 부재의 소산이라는 비판도 가능하다. 그렇다면, 정말 민족적 긍지를 생각한다면, 이것은 찬양할 일이 아니라 부끄러워해야 할 일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 연구에 대한 열광적인 찬양의 분위기에 압도되어 냉철한 성찰과 비판의 목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는다. <한겨레>의 조홍섭 기자는 이 상황에 대하여 “어딘가 전체주의 냄새가 난다”고 썼다. 나는 작고한 일본의 정치사상가 후지타 쇼조의 말을 빌려 ‘안락을 위한 전체주의’라고 부르고 싶다. 생명조작에 의한 의료기술의 궁극적 지향은 무병장수의 세상이라고 한다. 무병장수의 꿈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인간욕망이겠지만, 그러나 정말 질병없는 세상이 현실이 된다면 그것은 얼마나 가공할 디스토피아일 것인가. 모든 전통문화는 인간 존엄성과 자유의 근본은 우리가 인간존재의 궁극적 한계를 받아들이는 데 있음을 가르쳐왔다. 삶의 기술은 본질적으로 고통을 견디고, 죽음에 순응하는 기술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질병도, 고통도, 시련도, 죽음도 모두 사라진다면 우리의 삶은 심히 공허하고 천박한 것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경제성장이라는 신(神)을 오랫동안 섬겨오는 동안에 어느새 이러한 삶의 근본이치도 망각해버릴 만큼 우리의 정신은 마비되고 빈곤해졌는지 모른다. ‘안락을 위한 전체주의’는 실로 무서운 억압체제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