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9.20 06:01 수정 : 2019.09.20 20:25

아이를 꿀꺽 삼키는 호랑이의 눈으로 본 젠더 감수성
3학년 1반 교실에선 박진감 넘치는 수업이 펼쳐지고…

우리 학교에 호랑이가 왔다
김정신 글, 조원희 그림/웅진주니어·1만원

비 오는 등굣길 아침, 호랑이가 우리 학교에 왔다. ‘제발 우리 학교가 아니길’ 바랐던 교장 선생님은 혼비백산한다. 이날은 아이들이 한 명씩 호랑이 배 속으로 사라진 지 99일째다. 하루만 잘 버티면 됐다. 하필 100 번째 날, ‘우리 학교’가 호랑이한테 딱 걸렸다.

제11회 웅진주니어 문학상 장편 부문 수상작 <우리 학교에 호랑이가 왔다>는 아이를 꿀꺽꿀꺽 삼키는 호랑이를 주인공으로 삼아 성 고정관념을 깨고 어린이들의 양성 평등 감수성을 일깨우는 메시지를 담았다. 옛적 호랑이 등에다 오늘날의 ‘젠더’를 태워 전개하는 이야기는 지루할 틈 없이 내달린다. 어린이 심사단의 선택을 받은 이유겠다.

호랑이 구호는 100명의 아이를 삼켜 호랑이 아이로 다시 태어나게 하려고 전국 학교를 어슬렁거린다. 웅진주니어 제공
‘남자는, 여자는 이래야 한다’는 성차별적 편견이 점점 옅어지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런데도 여전히 분홍과 파랑은 성별을 갈라치는 기준색으로 작동한다. ‘사회의 축소판’인 학교는 때론 기성질서와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최전선이 된다. 줄이 삐뚤삐뚤한 걸 제일 싫어하는 교장 선생님처럼 획일적인 모습을 강요하는 어른들과 ‘내 아이만은 안 된다’는 가족주의적 이기심이 더해지면서 아이들 저마다의 개성과 선호도는 설 자리를 잃곤 한다.

준희는 호랑이 배 속에 진짜 아이들이 있는지 귀를 대 본다. 웅진주니어 제공
호랑이 구호가 삼킬 아이를 찾아 들어간 3학년 1반 ‘분홍 공주’ 준희가 그랬다. 분홍 우비에 엄마를 졸라서 산 분홍 장화까지, 비 오는 날 더 도드라진 분홍색을 본 아이들은 놀리고 구분 짓고 못된 말을 퍼붓는다. 준희와 친하게 지냈던, 여자 이름이라고 놀림받던 선영이조차 머리가 찰랑거리고 분홍색을 좋아하는 준희를 슬슬 피한다.

‘분홍공주’ 준희. 웅진주니어 제공
“난 아직 모르겠어요. 내가 남자인지, 여자 아이인지.” “넌 너지.” 호랑이와 수업받는 호들갑스런 3학년 교실에서 호랑이 구호와 준희는 ‘케미’가 잘 맞는다. “사라진 아이들이 정말 배 속에 있어요?” 두려움 없이 배를 쓰다듬고 귀를 갖다 대 보는 세심함도 남다르다. 남자 아이들은 털을 뽑아보고 꼬리를 만져보고 냄새를 맡아보며 장난 걸기 바쁘고, 여자 아이들은 호랑이와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 든다. ‘호랑이는 여자 아이만을 삼킨다’니 말이다. 여학생 14명의 학부모들은 몰려와 내 아이가 호랑이 밥이 될까 항의 소동을 벌이고, 교장 선생님은 위기를 모면하려고만 든다. 어른들의 이기심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대목이다.

동물의 아이로 태어난다면? 이 책은 아이들에게 또 다른 상상거리를 던져준다. 호랑이 아이는 두려움 없이 당당하고 서로의 개성을 존중할까? 타인의 영역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호랑이처럼. 곰의 아이는? 너구리의 아이는?

“강하다는 건 자신을 믿는 거야.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 뭘 잘하는지, 부족한 게 뭔지 아는 거지. 그러면 힘이 약하고 덜 똑똑하고 놀림을 당해도 당당하다.” 호랑이 구호는 이런 말을 남긴다. 호랑이의 100번째 선택은 누굴까? 초등 4~6학년.

권귀순 기자 gskwon@hani.co.kr, 그림 웅진주니어 제공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