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0.07 20:39 수정 : 2019.10.07 20:41

소설 ‘최후의 만찬’ 소개하는 서철원 작가. 사진 최재봉 선임기자

‘혼불문학상’ 받은 서철원 작가
소설 ‘최후의 만찬’ 기자간담회

소설 ‘최후의 만찬’ 소개하는 서철원 작가. 사진 최재봉 선임기자

“제가 사는 전북 전주의 전동성당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가톨릭 순교자인 윤지충과 권상연의 동상이 서 있습니다. 전동성당 자리가 바로 그 두 분이 처형당한 곳이죠. 소설 <최후의 만찬>은 두 분이 순교한 1791년의 신해박해에서 출발해, 그 시절 조선사회의 통치이념이었던 민본과 기득권 정치 사이의 갈등, 신앙과 양심의 문제 등을 다룬 작품입니다.”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인 <최후의 만찬>의 작가 서철원이 7일 오전 서울 마포의 한 북카페에서 기자간담회를 마련했다. 혼불문학상은 대하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1947~98)의 문학세계를 기리고자 제정되어 해마다 신작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시상하고 있다.

다섯 번째 도전 끝에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는 서 작가는 “예수의 시대와 조선의 천주교 탄압 시기는 본질에 있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예수와 열두 제자의 만찬을 그린 그림 <최후의 만찬>처럼, 정조 임금을 가운데에 놓고 왼쪽에는 조정의 관료 여섯 명이, 오른쪽에는 천주교 박해로 희생당한 여섯 사람의 영혼이 등장하는 소설 속 정약용의 ‘카메라 옵스큐라’ 장면에 그런 상징성을 담았다”고 말했다.

윤지충과 권상연의 처형 장면으로 시작한 소설은 정약용과 김홍도, 정조와 박지원 등 실존 인물을 등장시키는 한편, 조선 세종 때의 과학자 장영실과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 <최후의 만찬>에 얽힌 비밀을 설정하고, 여섯 탈춤패 초라니 암살단 같은 가상의 인물을 창조해 이야기를 풍부하게 만든다.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국문학자이기도 한 그는 연구서 <혼불, 저항의 감성과 탈식민성>으로 2017년 ‘제12회 혼불학술상’도 받았다. 그는 “소설 <혼불>을 통해 글의 원리와 글쓰기 방법에 관해 많은 것을 배웠다. 내 연구서는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잃어가는 민족의 언어와 전통, 세시풍속, 신화 등을 잘 살려 쓴 소설 <혼불>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한 책”이라고 소개했다.

이번 수상작 이전에도 <왕의 초상>과 <혼, 백> 같은 역사소설을 발표해온 그는 “현실이 너무 빨리 변화해서 소설로 따라잡기에 벅차기 때문에 차라리 과거로 돌아가 과거를 통해 현재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며 “다음 작품으로도 역사를 소재로 한 판타지 소설을 구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