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성란 지음/현대문학·1만1200원 하성란(사진)의 소설 <크리스마스캐럴>은 크리스마스 이브에 한 자리에 모이게 된 가족이 막내가 겪은 유령 이야기를 듣는 형식이다. 이야기를 듣기까지의 과정과 듣는 정황, 듣고 난 뒤의 반응이 앞뒤에 배치되고, 막내 자신을 화자로 삼은 유령 이야기가 몸통으로서 소설 중심부를 차지하는 액자형 구조다. 이 작품은 또 제목이 같은 찰스 디킨스의 소설과, 역시 유령을 다룬 헨리 제임스의 중편 ‘나사의 회전’의 영향과 그에 대한 오마주적 성격을 감추지 않는다. 막내의 이야기는 남편이 투자한 외딴 리조트에 혼자서 열흘간 머물렀던 때 있었던 일이다. 도저히 사람이 찾아오지 않을 것 같은 곳에 외따로 서 있는 리조트에는 막내 자신 말고는 다른 손님의 흔적이 없다. 교회 신도들로 짐작되는 버스 두대분의 단체손님이 잠깐 머물다 간 리조트에서 막내는 이름 대신 ‘10박’이라 불리며 외롭고 두려운 나날을 보낸다. 문고리와 창문의 잠금장치는 고장이 났고, 커튼이 없는 창으로는 “어둠 속에 서서 방 안을 들여다보는 검고 커다란 두 눈”이 보인다. 방 문 앞 바구니에는 쓰고 내놓은 수건이 넘쳐나는데 아무도 수거해 가지 않고, 밤이면 직원이 모두 퇴근해서 리조트에는 혼자뿐이다. 상자째 사다 놓은 맥주로 끼니를 대신하다시피 하던 끝에 막내는 결국 헛것을 보고 듣는다. “아무도 없는 깊은 밤 허공으로 여자애의 웃음소리가 흩어졌다. 여자애는 가끔 내 방 창으로 나를 들여다보았다. 어느 날은 작은 개가 따라붙었다. (…) 어느 순간부터 나는 내가 보고 있는 것에 대해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었다.”
책 |
하성란의 크리스마스캐럴-이야기와 삶의 나사 조이기 |
하성란 지음/현대문학·1만1200원 하성란(사진)의 소설 <크리스마스캐럴>은 크리스마스 이브에 한 자리에 모이게 된 가족이 막내가 겪은 유령 이야기를 듣는 형식이다. 이야기를 듣기까지의 과정과 듣는 정황, 듣고 난 뒤의 반응이 앞뒤에 배치되고, 막내 자신을 화자로 삼은 유령 이야기가 몸통으로서 소설 중심부를 차지하는 액자형 구조다. 이 작품은 또 제목이 같은 찰스 디킨스의 소설과, 역시 유령을 다룬 헨리 제임스의 중편 ‘나사의 회전’의 영향과 그에 대한 오마주적 성격을 감추지 않는다. 막내의 이야기는 남편이 투자한 외딴 리조트에 혼자서 열흘간 머물렀던 때 있었던 일이다. 도저히 사람이 찾아오지 않을 것 같은 곳에 외따로 서 있는 리조트에는 막내 자신 말고는 다른 손님의 흔적이 없다. 교회 신도들로 짐작되는 버스 두대분의 단체손님이 잠깐 머물다 간 리조트에서 막내는 이름 대신 ‘10박’이라 불리며 외롭고 두려운 나날을 보낸다. 문고리와 창문의 잠금장치는 고장이 났고, 커튼이 없는 창으로는 “어둠 속에 서서 방 안을 들여다보는 검고 커다란 두 눈”이 보인다. 방 문 앞 바구니에는 쓰고 내놓은 수건이 넘쳐나는데 아무도 수거해 가지 않고, 밤이면 직원이 모두 퇴근해서 리조트에는 혼자뿐이다. 상자째 사다 놓은 맥주로 끼니를 대신하다시피 하던 끝에 막내는 결국 헛것을 보고 듣는다. “아무도 없는 깊은 밤 허공으로 여자애의 웃음소리가 흩어졌다. 여자애는 가끔 내 방 창으로 나를 들여다보았다. 어느 날은 작은 개가 따라붙었다. (…) 어느 순간부터 나는 내가 보고 있는 것에 대해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