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복원된 신계사 대웅보전 전경.
|
명당자리
중건…보수…소실…복원…
권세따라 흥망성쇠
남북 원상복원 계획 육당 최남선이 기행기 <금강예찬>에서 절묘한 필력으로 옮긴 것처럼 신계사 터는 금강산 사찰 가운데 지정학적으로 가장 명당자리다. 외금강의 등뼈격인 ‘관음연봉이 군선, 한하의 양 골짜기 사이로 줄기차게 뻗쳐 나오다가 문필봉을 보당(절 행사 때 쓰는 깃대)으로 앞세우고 너부죽하게 열린 바닥에 있는 고찰’인 것이다. 게다가 뒤에 붓끝을 닮았다는 문필봉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앞에는 세존봉의 기기묘묘한 장관을 끼고 있으니, 옛 사람들은 절 영역을 일컬어 ‘세존 원내’라고도 일컬었다고 육당은 기록하고 있다. 문필봉의 문자향과 관음·세존봉 영기가 서로 어울리는 이 절에서 근대 선불교를 이끈 석두(1882~1954)와 그의 제자로 판사였다가 출가해 종정이 된 효봉(1888~1966) 등의 걸출한 선지식이 배출된 것도 우연은 아니다. 지난해 11월 조계종의 주도로 복원된 신계사 대웅전에 수행·관리자로 파견된 제정 스님은 “탁트인 정면 경관 왼쪽으로 문필봉이, 오른쪽으로 집선·채하·세존봉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는 까닭에 비스듬히 해가 떠서 기우는 겨울이 오히려 여름보다 더 낮이 길다”며 “이렇게 절묘한 지세는 처음 봤다”고 했다. 사실 신계사만큼 인간 세속의 자취가 덧없는 백일몽에 불과하다는 것을 실감시켜주는 유적도 드물다.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절집 자체가 깡그리 사라져버린 것도 이유가 되겠지만, 신라, 고려, 조선시대부터 신계사는 왕실, 권력층과 밀접한 공생관계를 지니면서 번성해오다 거푸 버림받고 다시 지은 내력이 되풀이되었다. 1825년에 지은 <금강산신계사사적>을 보면 고찰은 신라 법흥왕 5년인 519년 보운스님이 세운 뒤 삼국통일의 주역인 김유신이 653년 중건하고, 김유신의 동생인 김흠순과 문무왕 동생인 김인문이 대웅전을 보수했다고 전해진다. 또 지방기록인 <관동읍지>를 보면 ‘(신라 마지막왕인)경순왕이 쫓겨난 뒤 불사를 닦으려고 원당을 지었으나 시비는 알 수 없다’는 기록이 나온다. 고려 광종 때에 국사를 지낸 탄문스님이 신계사를 보수했고 서경천도를 주장했던 실력자 묘청이 1130년에 중창한 기록도 전해진다. 왕실과 다소 소원했던 신계사는 1789년 영조에 의해 굶어죽은 사도세자의 명복을 비는 곳으로 다시 일어선다. 정조가 원불전과 어향각을 지어 수원 현륭원(사도세자의 사당)의 원당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구한말엔 고종 황실로부터 공명첩과 거액의 내탕금 등을 지원받아 대웅보전과 각종 불구를 장만할 정도로 살핌을 받았다. 당시 중신인 소하 조성하는 “ 허위허위 걸어 뒤늦게 신계사에 이르니 기러기 날아갈듯한 탑의 자태하며 절 처마 밑 풍경에 걸린 물고기하며 아주 큰 도량이로구나’라고 절의 위세를 노래하고 있다. 19세기 말 전각이 21채에 이를 정도로 대찰이었던 신계사는 1911년 정문누각인 만세루 2층 15칸과 최승전 60여칸이 불에 타면서 다시 퇴락의 길을 걷게 된다. 이후 일제시대인 1920년대 대웅전 앞 석축과 만세루, 요사채 등이 복원 되었으나 이미 전통적인 절집의 배치와 1000년 이상 된 삼층탑 자리의 놓임새, 구조가 일본인들에 의해 크게 왜곡되어 현재 진행중인 전통 사찰 복원도 쉽지 않은 상황이 되어버렸다. 춘원 이광수도 <금강산유기>에서 이게 못내 아쉬웠던 탓인지 ‘신계사라, 그 사무소가 유리창, 의자, 탁자의 면 사무소나 순사 주재소 식인 것이 매우 눈에 틀립니다. 오래된 석탑만 오직 옛 뜻을 변치않고 서있을 뿐이외다”라고 털어놓고 있다. 다행히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남북 합동발굴에 따라 올해 만세루와 요사채 제 위치를 찾아 원상복원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제행무상의 진리를 떠올리게 하는 절 터에서 의연한 것은 곧 대자연뿐이다. 이를 깨우쳐주기라도 하듯 1887년 씌어진 신계사 법당 중건 상량문의 게송은 달뜬 밤 절집 공간의 환상적 풍경을 전해준다. “ 한 지팡이로 밤에 삼 만리를 돌아가니 달은 밝고 끝없는 하늘 바람 소리 들리네… 만 이천봉은 권속과 같으니 한 신선의 피리소리에 흰 구름이 멈추도다… 하늘 향 계수나무 바람에 날리니… 방장의 깊고 깊은 데서 승려가 결제에 드네…’달 비치는 새벽 깨달음에 목말랐던 신계사 옛 승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금강산/글·사진 노형석 기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