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을 믿는 여인에겐 쿨한 사랑은 없는 법 한때 밀란 쿤데라의 소설들을 즐겨 읽었던 적이 있다. 그의 단편들은 언제 들추어보아도 보석 같다. 그의 몇몇 작품들은 결코 넘을 수 없는 벽처럼 느껴져 막막한 절망감을 선사해주기도 한다. 어떤 뜻에서 그는 나로 하여금 소설쓰기에 흥미를 잃도록 만들어 놓은 장본인이다. 마치 B. B. 킹의 연주를 직접 듣고 나서 감당할 수 없는 자괴감에 빠져들어 연신 담배만 뻑뻑 빨아대던 한국의 숱한 블루스 기타리스트들처럼. 하지만 그가 쓴 장편소설들의 수준은 들쭉날쭉하다. 나는 <농담>을 여전히 그의 베스트로 꼽는다. <생은 다른 곳에>는 찬탄을 자아낼 만한 형식미를 갖췄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대중과의 접점이 가장 넓은 작품이다. 나는 이 작품의 ‘부질없는 따스함’을 사랑한다. 그 이후의 작품들은 별로다. 괴팍하게 늙어가는 노인의 꼬장꼬장한 푸념 같다. <농담>은 물론 명품이지만 두 번 읽기엔 버거울 만큼 냉혹하다. 결국 내가 이따금씩 들추어보는 그의 장편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뿐이다. 이 작품을 더할 수 없이 세련된 영상에 담아낸 <프라하의 봄> 역시 내가 즐겨보는 영화다. 나의 바람둥이 기질에 상처
그녀의 어깨 감싸주고 싶다 언젠가 나는 사비나(레나 올린)야말로 “모든 남성들이 꿈에 그리는 연인”이라고 쓴 적이 있다. 이 생각에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 하지만 나도 나이가 들어가는 걸까? 이즈음 들어 <프라하의 봄>을 볼 때마다 눈에 밟히는 것은 오히려 테레사(줄리엣 비노쉬)다. 운명적인 사랑을 믿는 여인, 다른 남자를 사랑할 수 없는 여인, 나의 바람둥이 기질에 상처 받고 악몽에 시달리는 여인, 나와 함께라면 몰락까지도 행복하게 받아들이는 여인. 테레사에게 쿨한 사랑은 없다. 그녀는 사랑으로 나를 옭죄고, 질투로 병들며, 그렇게 한 세월을 함께 견딘다. 사비나에게 사랑은 우정의 한 형태다. 그것은 에로틱한 우정이며 삶의 비공식 부문에 속한다. 테레사에게 사랑은 우정과 공유될 수 없다. 그녀는 차라리 사비나와 우정을 나눌지언정 토마스와는 그럴 수 없다. 그녀에게 사랑은 일대일 대응이며 우정으로 대체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런 사랑은 그녀에게도 괴로움이다. 그래서 그녀는 당장에라도 깔아뭉갤듯 부릉부릉 대는 소련군 탱크의 캐터필러에 맞서 겁도 없이 카메라 셔터를 눌러대는 것이다. 오오 테레사, 제발 그런 식으로 네 삶을 함부로 내동댕이치지 말아줘.
|
||||
심산/시나리오작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