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2 18:23 수정 : 2005.02.22 18:23

정부의 공직기강 확립 지침에 따라 “공직이나 공무와 관련하여 금품을 받았을 때 공무원이 직접 그 사실을 신고할 수 있는 내부 조직”을 가리키는 말로, 이른바 ‘클린 센터’ 또는 ‘클린 신고 센터’라는 것이 있다. 정부 부처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이를 두어 운영하고 있는 줄 안다.

지난해 ‘굴비상자’에 든 정체 불명의 돈 2억원이 인천광역시 감사관실에 둔 ‘클린 신고 센터’에 접수된 것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세상을 시끄럽게 한 적이 있다. 인천광역시는 자체 규정에 따라 시장 쪽에서 신고한 이 돈을 신속하게 은행에 입금시킴으로써 세간의 관심이 더욱 증폭되었다. 정말로 이런 조직이 만들어져 제구실을 하고 있는지 의심이 가지만, 마치 전시 행정의 한 표본을 보는 것 같아 매우 씁쓸하기만 하다. 사건 당시 인천광역시 ‘클린 센터’에 접수된 44건 중에 신고 금액 전체가 2억1000여만원이고, 시장 개인의 신고 금액만 2억800여만원이라고 하니 나머지는 200만원도 되지 않았던 셈이다.

어쨌든 ‘클린 센터’란 데가, 사건이 터지고 언론을 통해 알려지고서야 깨끗한 공직사회를 만들기 위해 둔 곳이라는 것 정도를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관공서 조직을 굳이 외래어를 써서 이름 붙이고 운영하는 까닭이 무언가? 그것이 무슨 무공해 공장인지, 거리의 오물 청소를 담당하고 신고받는 부서인지, 부정·부패를 청소하는 모임인지 일반인들은 무척 헷갈릴 터이다. 쉬운 우리말로 이름을 짓거나 하면 공직기강이 풀어지고, 깨끗해지고자 하는 마음이 달아나기라도 한단 말인가?

마침 국립국어원에서 그 대신 ‘청백리마당’을 제시하였다. 어떤 조직이나 운영에 관한 것을 가리키는 말이니, ‘청백리 지킴이방’도 권할 만하겠다.

최용기/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