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가 일본에서의 '겨울 연가' 유행과 그에 따라 급물살을 탄 한류의 두 번째요인으로 지목하는 것은 한일 양국 정부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저자에 따르면 일본은 역사적으로 대중문화를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위한 무기로 사용해왔다. 일본의 경우 대중문화 교류를 통해 한일 상호 이해를 촉진함으로써 한일 간에아직도 남아 있는 복잡한 역사 문제를 무마하거나 또는 한국 정부로부터 일본 대중문화 완전 개방을 이끌어내려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 '욘사마' 배용준이 2004년 4월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본 공영방송 NHK의 에비사와 회장이 '한일 양국의 상호 이해 증진에 공헌했다'는 취지로 감사장을 수여한 데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고 저자는 지적했다. 또 한국 정부는 한국 정부대로 '한류'를 국가적 영향력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저자는 보고 있다. 일례로 한류 스타들을 관광 대사로 임명하는 등 관광 분야의 호재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 하지만 저자는 이런 한일 양국의 움직임은 모두 초국가적으로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현실을 국가라는 좁은 틀 속에 다시 매몰시키고 단순화해 버리는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우려한다. 세 번째 인기 요인은 한국 드라마 텍스트 자체의 성격에서 찾는다. 한국 드라마는 한국이라는 개별 국가의 고유한 색채를 띠면서도 공식 혹은 비공식적 통로를 통해 일본 드라마의 영향을 받아왔는데, 이로 인해 일본사람들에게 '친근감', '친밀성'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차이'를 느끼게 한다는 것. 흔히 문화 혼종(Hybridity)이란 개념으로 설명되는 이런 친밀성과 차이는 일본에 부는 한류 현상의 한 가지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서울/연합뉴스)
문화일반 |
일본 여성이 분석한 ‘겨울 연가’ 흥행 비결 |
왜 일본에서 '겨울 연가'가 그렇게 인기를 끈 것일까. 지식인에서 고등학생까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궁금하게여기는 대목이다.
그 의문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해석이 나왔지만 고개를 끄덕이며 수긍할 만한 속시원한 해답은 제시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일본 여성 히라타 유키에 씨가 최근 펴낸 '한국을 소비하는 일본-한류, 여성,드라마'(책세상)라는 책에서 일본 여성들 인터뷰를 토대로 그 나름의 분석을 통해인기 요인을 내놔 관심을 끈다.
저자는 일본 도쿄 성심여자대학 영문과를 나와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일본 20,30대 여성들의 한국 관광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같은 대학에서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저자는 먼저 '겨울 연가'의 인기나 한류는 갑자기 나타난 현상이 아니라고 말한다.
한국영화 등 한국 대중문화가 일본에 소개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 한일 월드컵 공동개최를 거치며 한국문화의 능동적 소비자층이나 팬이 점차 두터워지면서 생겨난 자연스런 결과라는 것이다.
어쩌면 '겨울 연가'의 인기는 충분한 준비 기간 뒤에 소개된 절묘한 타이밍 덕분일 수도 있다고 그는 말한다.
저자가 일본에서의 '겨울 연가' 유행과 그에 따라 급물살을 탄 한류의 두 번째요인으로 지목하는 것은 한일 양국 정부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저자에 따르면 일본은 역사적으로 대중문화를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위한 무기로 사용해왔다. 일본의 경우 대중문화 교류를 통해 한일 상호 이해를 촉진함으로써 한일 간에아직도 남아 있는 복잡한 역사 문제를 무마하거나 또는 한국 정부로부터 일본 대중문화 완전 개방을 이끌어내려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 '욘사마' 배용준이 2004년 4월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본 공영방송 NHK의 에비사와 회장이 '한일 양국의 상호 이해 증진에 공헌했다'는 취지로 감사장을 수여한 데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고 저자는 지적했다. 또 한국 정부는 한국 정부대로 '한류'를 국가적 영향력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저자는 보고 있다. 일례로 한류 스타들을 관광 대사로 임명하는 등 관광 분야의 호재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 하지만 저자는 이런 한일 양국의 움직임은 모두 초국가적으로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현실을 국가라는 좁은 틀 속에 다시 매몰시키고 단순화해 버리는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우려한다. 세 번째 인기 요인은 한국 드라마 텍스트 자체의 성격에서 찾는다. 한국 드라마는 한국이라는 개별 국가의 고유한 색채를 띠면서도 공식 혹은 비공식적 통로를 통해 일본 드라마의 영향을 받아왔는데, 이로 인해 일본사람들에게 '친근감', '친밀성'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차이'를 느끼게 한다는 것. 흔히 문화 혼종(Hybridity)이란 개념으로 설명되는 이런 친밀성과 차이는 일본에 부는 한류 현상의 한 가지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서울/연합뉴스)
저자가 일본에서의 '겨울 연가' 유행과 그에 따라 급물살을 탄 한류의 두 번째요인으로 지목하는 것은 한일 양국 정부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저자에 따르면 일본은 역사적으로 대중문화를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위한 무기로 사용해왔다. 일본의 경우 대중문화 교류를 통해 한일 상호 이해를 촉진함으로써 한일 간에아직도 남아 있는 복잡한 역사 문제를 무마하거나 또는 한국 정부로부터 일본 대중문화 완전 개방을 이끌어내려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 '욘사마' 배용준이 2004년 4월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본 공영방송 NHK의 에비사와 회장이 '한일 양국의 상호 이해 증진에 공헌했다'는 취지로 감사장을 수여한 데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고 저자는 지적했다. 또 한국 정부는 한국 정부대로 '한류'를 국가적 영향력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저자는 보고 있다. 일례로 한류 스타들을 관광 대사로 임명하는 등 관광 분야의 호재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 하지만 저자는 이런 한일 양국의 움직임은 모두 초국가적으로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현실을 국가라는 좁은 틀 속에 다시 매몰시키고 단순화해 버리는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우려한다. 세 번째 인기 요인은 한국 드라마 텍스트 자체의 성격에서 찾는다. 한국 드라마는 한국이라는 개별 국가의 고유한 색채를 띠면서도 공식 혹은 비공식적 통로를 통해 일본 드라마의 영향을 받아왔는데, 이로 인해 일본사람들에게 '친근감', '친밀성'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차이'를 느끼게 한다는 것. 흔히 문화 혼종(Hybridity)이란 개념으로 설명되는 이런 친밀성과 차이는 일본에 부는 한류 현상의 한 가지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