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민형 KBS DMB팀장은 "지상파DMB가 100% 광고에 의존하면 신문이나 라디오 등상대적으로 광고 수주 영향력이 적은 마이너 매체들이 더욱 어려운 처지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방송위는 지상파DMB 무료 원칙 고수 =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지상파DMB 도입 정책을 발표하면서 무료 방침을 밝힌 배경에는 크게 보아 두 가지 전제가 깔려 있다. 그 하나는 지상파DMB가 지상파TV 방송대역인 VHF 채널 8번과 12번을 쓴다는 사실. 국민의 공공재산이자 유한한 자원인 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익사업에 이용되기보다는 모든 국민이 보편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성이나 케이블망을 이용한 방송과는 태생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지난해 7월 방송위ㆍ정통부ㆍKBSㆍ언론노조 대표가 지상파 디지털TV의 전송방식을 미국식으로 결정하면서 이동수신 보완을 위해 지상파DMB의 도입에 합의한 것도연관이 있다. 대국민 서비스를 이동 중에도 불편 없이 보도록 하자는 것이 4자합의정신이기 때문에 무료화는 당연하다는 것이다. 방송위의 양한열 지상파부장은 "단말기를 수신 가능 지역에 따라 구분하면 지상에서만 나올 단말기를 살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며 "다음주 13일께 사업자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부분적 유료화 불가 입장을 다시 한번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언론노동조합도 지난 1월 성명을 통해 "유료화 주장은 무료 보편적 서비스매체라는 지상파방송의 본질을 훼손하는 망발이며, 난시청 해소를 시청자 부담으로떠넘기겠다는 발상"이라고 공박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들도 "위성DMB의 지상파TV 프로그램 재송신을 결사 반대하는 명분이 보편적인 지상파 서비스를 돈벌이에 이용하지 말라는 것인데, 지상파DMB를 유료화하면 지상파DMB에도 지상파 프로그램 재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따져 물었다. ■서비스별 유료화 방안 논의는 유보 =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무료 원칙에 동의하면서도 일부 유료화 방안을 두 가지로구분하고 있다. 음영지역에서도 수신되는 '부분적 유료화'와 서비스 유형별로 요금을 받는 '선택적 유료화'가 그것이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선택적 유료화의 전제가 되는 수신제한시스템(CAS)의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8일 결정을 유보했다. 도입에는 다 동의하지만 음영지역 중계망구축이 더 시급하다고 본 것이다. CAS란 셋톱박스를 통해 유료 방송 프로그램의 해킹을 방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음영지역에서도 갭필러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는 CAS를 설치하지않더라도 단말기에 별도의 디스크램블러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수신 제한이 가능하다. 방송위는 서비스 유형별로 유료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있다. 노성대 위원장도 "데이터방송 서비스처럼 기술 발전에 따라 서비스 유형에 따라 일정 부분 유료화하는 것은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상파DMB 유료화 여부는 지상파DMB 사업 성패는 물론 위성DMB와의 경쟁관계를포함해 미디어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어서 위성DMB의 지상파 재송신 논란과 더불어 한동안 뜨거운 논란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문화일반 |
지상파DMB 유료화 논란 본격화 |
수도권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6개 사업자가 갭필러(중계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사실상 유료화의 길을 열어놓는 방안에 합의함으로써 지상파DMB의 유료화 논란이 본격적으로 달아오르게 됐다.
엄민형 KBS DMB팀장, 김윤섭 MBC DMB추진팀 부장, 김인주 SBS 정책팀 차장, 이동헌 YTN 정치부 차장, 박재홍 KMMB 대표, 김경선 한국DMB 사장 등은 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 모여 지하나 폐쇄공간 등 전파가 직접 닿지 않는 음영 지역에서는 별도의 단말기가 있어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등 6개항에 합의했다. 그러나 방송위원회가 이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데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등도 반대의 뜻을 밝혀 공방이 벌어질 조짐이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의 합의 배경 =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6개 합의사항을 발표하며 유료화라는 단어는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나서서 돌을 맞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영지역에서도 수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토록 하는 방안을 결정함으로써 사실상 유료화의 길을 열어놓은 셈이다.
이론적으로는 매달 수신료를 받지 않고 별도의 단말기 가격을 훨씬 높이면 되지만 그럴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지상파TV 방송망을 이용하게 될 지상파DMB는 지하, 터널, 폐쇄공간 등지에서는 수신할 수 없다.
업계에서는 지하철 등에서도 지상파DMB를 수신할 수 있는 중계기(갭필러)를 깔려면 수도권에서만 300억원에서 500억원 가량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더욱이 이동통신회사들은 기존에 구축해 놓은 중계시설이나 인력 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지만 방송사업자들이 직접 중계망을 구축하려면 시설 임대 비용이나 관리비용 등을 합쳐 세 배 가량 들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방송사업자가 아닌 KTF나 LGT 등 이동통신 회사들이 단말기 수요만 보고중계망 구축에 선뜻 나서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LGT의 남용 사장이나 KTF의 남중수사장도 기자회견을 통해 "투자비 회수를 위해서는 부분적 유료화가 불가피하다"고주장해 왔다. 따라서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중계망 구축에 나설 수 있도록 단말기 구분에 합의한 것이다.
단말기 보급을 위해서도 이동통신사업자들의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위성DMB 사업자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수도권에 갭필러를 촘촘히 깔아놓은 것도 이러한 결정을 부추겼다. 비교실험에서 음영 지역에 들어가면 지상파DMB의 수신품질이 위성DMB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원이 광고밖에 없다는 것도 지상파DMB 사업자들로서는 중요한 문제. 그러나 중계망 구축비용 보전을 위해 부분적인 유료화를 하더라도 이 중 얼마가 지상파DMB사업자로 갈지는 현재로서는 불투명한 형편이다.
엄민형 KBS DMB팀장은 "지상파DMB가 100% 광고에 의존하면 신문이나 라디오 등상대적으로 광고 수주 영향력이 적은 마이너 매체들이 더욱 어려운 처지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방송위는 지상파DMB 무료 원칙 고수 =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지상파DMB 도입 정책을 발표하면서 무료 방침을 밝힌 배경에는 크게 보아 두 가지 전제가 깔려 있다. 그 하나는 지상파DMB가 지상파TV 방송대역인 VHF 채널 8번과 12번을 쓴다는 사실. 국민의 공공재산이자 유한한 자원인 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익사업에 이용되기보다는 모든 국민이 보편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성이나 케이블망을 이용한 방송과는 태생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지난해 7월 방송위ㆍ정통부ㆍKBSㆍ언론노조 대표가 지상파 디지털TV의 전송방식을 미국식으로 결정하면서 이동수신 보완을 위해 지상파DMB의 도입에 합의한 것도연관이 있다. 대국민 서비스를 이동 중에도 불편 없이 보도록 하자는 것이 4자합의정신이기 때문에 무료화는 당연하다는 것이다. 방송위의 양한열 지상파부장은 "단말기를 수신 가능 지역에 따라 구분하면 지상에서만 나올 단말기를 살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며 "다음주 13일께 사업자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부분적 유료화 불가 입장을 다시 한번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언론노동조합도 지난 1월 성명을 통해 "유료화 주장은 무료 보편적 서비스매체라는 지상파방송의 본질을 훼손하는 망발이며, 난시청 해소를 시청자 부담으로떠넘기겠다는 발상"이라고 공박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들도 "위성DMB의 지상파TV 프로그램 재송신을 결사 반대하는 명분이 보편적인 지상파 서비스를 돈벌이에 이용하지 말라는 것인데, 지상파DMB를 유료화하면 지상파DMB에도 지상파 프로그램 재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따져 물었다. ■서비스별 유료화 방안 논의는 유보 =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무료 원칙에 동의하면서도 일부 유료화 방안을 두 가지로구분하고 있다. 음영지역에서도 수신되는 '부분적 유료화'와 서비스 유형별로 요금을 받는 '선택적 유료화'가 그것이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선택적 유료화의 전제가 되는 수신제한시스템(CAS)의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8일 결정을 유보했다. 도입에는 다 동의하지만 음영지역 중계망구축이 더 시급하다고 본 것이다. CAS란 셋톱박스를 통해 유료 방송 프로그램의 해킹을 방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음영지역에서도 갭필러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는 CAS를 설치하지않더라도 단말기에 별도의 디스크램블러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수신 제한이 가능하다. 방송위는 서비스 유형별로 유료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있다. 노성대 위원장도 "데이터방송 서비스처럼 기술 발전에 따라 서비스 유형에 따라 일정 부분 유료화하는 것은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상파DMB 유료화 여부는 지상파DMB 사업 성패는 물론 위성DMB와의 경쟁관계를포함해 미디어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어서 위성DMB의 지상파 재송신 논란과 더불어 한동안 뜨거운 논란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엄민형 KBS DMB팀장은 "지상파DMB가 100% 광고에 의존하면 신문이나 라디오 등상대적으로 광고 수주 영향력이 적은 마이너 매체들이 더욱 어려운 처지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방송위는 지상파DMB 무료 원칙 고수 =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지상파DMB 도입 정책을 발표하면서 무료 방침을 밝힌 배경에는 크게 보아 두 가지 전제가 깔려 있다. 그 하나는 지상파DMB가 지상파TV 방송대역인 VHF 채널 8번과 12번을 쓴다는 사실. 국민의 공공재산이자 유한한 자원인 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익사업에 이용되기보다는 모든 국민이 보편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성이나 케이블망을 이용한 방송과는 태생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지난해 7월 방송위ㆍ정통부ㆍKBSㆍ언론노조 대표가 지상파 디지털TV의 전송방식을 미국식으로 결정하면서 이동수신 보완을 위해 지상파DMB의 도입에 합의한 것도연관이 있다. 대국민 서비스를 이동 중에도 불편 없이 보도록 하자는 것이 4자합의정신이기 때문에 무료화는 당연하다는 것이다. 방송위의 양한열 지상파부장은 "단말기를 수신 가능 지역에 따라 구분하면 지상에서만 나올 단말기를 살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며 "다음주 13일께 사업자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부분적 유료화 불가 입장을 다시 한번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언론노동조합도 지난 1월 성명을 통해 "유료화 주장은 무료 보편적 서비스매체라는 지상파방송의 본질을 훼손하는 망발이며, 난시청 해소를 시청자 부담으로떠넘기겠다는 발상"이라고 공박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들도 "위성DMB의 지상파TV 프로그램 재송신을 결사 반대하는 명분이 보편적인 지상파 서비스를 돈벌이에 이용하지 말라는 것인데, 지상파DMB를 유료화하면 지상파DMB에도 지상파 프로그램 재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따져 물었다. ■서비스별 유료화 방안 논의는 유보 =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무료 원칙에 동의하면서도 일부 유료화 방안을 두 가지로구분하고 있다. 음영지역에서도 수신되는 '부분적 유료화'와 서비스 유형별로 요금을 받는 '선택적 유료화'가 그것이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선택적 유료화의 전제가 되는 수신제한시스템(CAS)의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8일 결정을 유보했다. 도입에는 다 동의하지만 음영지역 중계망구축이 더 시급하다고 본 것이다. CAS란 셋톱박스를 통해 유료 방송 프로그램의 해킹을 방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음영지역에서도 갭필러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는 CAS를 설치하지않더라도 단말기에 별도의 디스크램블러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수신 제한이 가능하다. 방송위는 서비스 유형별로 유료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있다. 노성대 위원장도 "데이터방송 서비스처럼 기술 발전에 따라 서비스 유형에 따라 일정 부분 유료화하는 것은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상파DMB 유료화 여부는 지상파DMB 사업 성패는 물론 위성DMB와의 경쟁관계를포함해 미디어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어서 위성DMB의 지상파 재송신 논란과 더불어 한동안 뜨거운 논란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