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리 성읍마을의 한 민가 처마에 내걸린 태왁(오른쪽). 태왁은 제주 해녀들이 물질에 사용하는 ‘떠있는 박’이다. 남제주/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창조의 씨앗 품은,
박을 켜세 박을 켜세 호공을 아는가? 박 호(瓠) 자에 남자를 높여 부르는 접미사 공(公) 자가 붙은 이름. 박을 허리에 차고 바다를 건너와 호공으로 불렸다는 남자. 신라 초기 역사의 몇 장면에 산발적으로 등장하지만 도무지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 뭔가 신화적 인물 같은 냄새를 풍기지만 신화를 잃은 호공. 2000여 년 전 경주 지역에 살았던 그를 아는가? 호공이 신화적 냄새를 풍긴다는 것은 그가 신라 건국신화의 주인공들과 깊이 연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결코 신화의 주인공은 아니지만 없어서는 안될 배역처럼 나타난다. 빛나는 조역이라고나 할까? 그가 등장하는 네 개의 장면을 따라가 보자. 기록에 남아 있는 첫 장면은 사신 호공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그는 박혁거세의 사신으로 마한에 파견된다. 박혁거세 재위 38년의 일이다. 무슨 일로 갔는지는 알 길이 없지만 혁거세왕이 믿고 사신으로 보낼 정도면 호공은 박씨 정권의 깊은 신임을 받고 있던 인물임에 틀림없다. 별로 신화적 인물 같아 보이지 않는다고? 그렇다면 다음 장면은 어떤가? 박혁거세의 사신으로
또는 석탈해에 집을 빼앗긴 이로
김알지를 처음 발견한 이로
사서에 남아있는 호공의 흔적들 신라 건국신화의 두 번째 주인공인 석탈해. 호공은 그의 이야기에도 감초처럼 등장한다. 용성국 왕자의 신분이었지만 알로 태어나는 바람에 궤짝에 넣어 버려진 석탈해가 흘러온 곳은 신라 계림 동쪽의 바닷가였다. 그런데 궤짝에서 나온 이 아이의 행동이 괴이쩍다. 토함산에 올라가 돌무덤을 만들어 일주일동안 머물다 나와 처음으로 한 일이 남의 집 빼앗기였다. 바로 이 장면에서 호공은 난데없이 나타난 석탈해에게 속아 집을 빼앗긴 비운의 사나이 역할을 한다. 석탈해가 몰래 호공의 집 옆에 숯과 숫돌을 묻어두고 본래 대장장이였던 조상의 집이라고 우긴 이야기. 선진적인 철기문화를 가진 도래 세력에 의해 토착 세력이 밀려나는 것을 상징화하고 있다는 이 이야기는 너무 잘 알려져 있어 재론할 필요는 없겠다. 다만 일종의 기만술이 신화적 영웅의 능력으로 신화에 자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석탈해만이 아니라 호공 역시 신화적 인물이었다고 해도 좋지 않을까? 비록 승리자를 돋보이게 하는 조역의 신세지만. 그래서 자신의 이야기를 잃었지만.
세번째 장면에서 호공은 신라 건국신화의 세번째 주인공 김알지의 발견자로 등장한다. <삼국사기>를 보면 탈해왕 9년 3월 밤중, 금성(월성) 서쪽 시림(계림)에서 닭 울음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동틀 무렵 사람을 보내는데 그가 바로 호공이다. 호공은 나무에 걸린 금빛 궤짝에서 나온 아이 알지를 발견한다. <삼국유사>에는 호공이 스스로 월성 서쪽 마을을 지나다가 황금궤를 발견했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호공은 이상하게도 제 집을 뺏은 탈해왕의 신하가 되어 있다. 뭔가 수수께끼 같은 조역이 아닌가? 기록 속의 호공을 일찍부터 수상쩍게 여긴 이가 월북한 국어학자 홍기문이다. 그는 역사나 신화에도 관심이 많아 1960년대에 <조선신화연구>라는 책을 내놓은 바 있는데 그의 호공에 대한 추리는 이렇다. 혁거세 38년에서 죽은 61년까지가 23년, 2대 남해 차차웅의 재위 20년, 3대 유리 이사금 재위 33년, 4대 탈해 이사금 9년, 도합 85년. 따라서 알지를 발견하던 해에 호공의 나이는 적어도 100살은 되었다! 하지만 홍기문의 추리는 더 나가지 못한다. 기록이 없으니 더 이상은 알기 어렵다는 것. 그러나 생각해 보라. 신라 건국신화의 세 주인공과 다 관계를 맺은 인물이, 85년 이상 신라 왕가의 신하로 활동한 인물이 한 사람일 수 있겠는가? 호공은 특정 개인을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다. 호공은 분명 어떤 집단의 우두머리를 지칭하는 보통명사일 것이다. 그것은 마치 단군이 고조선의 건국주일 뿐만 아니라 고조선의 왕을 지칭하는 보통명사인 것과 같다. 활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고 한 것도 같은 이치다. 그렇다면 호공의 정체를 밝힐 유일한 단서는 ‘이름’인 셈이다. 이름을 단서로 삼으려면 우리는 호공이 등장하는 서막으로 돌아가야 한다. 박·석·김, 세 시조와 어울려 있는 장면을 해명해 주는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장면이 있다. ‘호공이란 사람은 그 족속과 성도 자세히 모른다. 본래 왜인으로 박을 허리에 차고 바다를 건너온 까닭에 호공이라고 일컫는다.’ 이것이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최초의 장면이자 호공의 정체에 대한 설명의 전부이다. 호공을 알려면 이 기록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 기록을 의심하기 시작하면 우리는 호공의 정체에 관해 오리무중에 빠질 수밖에 없다.
|
||||||
그런데 허리에 박을 차고 바다를 건너오다니? 박은 휴대용 물통일까? 아니 그보다는 물놀이할 때 사용하는 튜브가 떠오른다. 큰 박은 속을 파내면 튜브처럼 물에 뜨는 기구가 될 수 있다. 안에 옷가지를 넣을 수도 있으니 고무 튜브보다 낫다. 호공 족속은 아마도 허리에 구명조끼처럼 박 튜브를 하나씩 차고 배로 바다를 건너오지 않았을까? 실제로 박은 여전히 물을 건너거나 물일을 할 때 유용한 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제주도 해녀들이 사용하는 태왁은 ‘떠 있는 박’이란 뜻이다. 해녀들은 물질을 하면서 채취한 해산물 망태를 태왁에 매달아 놓기도 하고, 태왁을 끌어안고 쉬기도 한다. 중국 하이난(海南)섬에 살고 있는 리족이나 먀오족은 지금도 물을 건너갈 때나 조개 등을 채취할 때 박을 사용한다. 제주도의 태왁과 재료나 기능이 동일하다. 그뿐이 아니다. 박은 호공 이전부터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춘추시대 문헌인 <국어(國語)>에는 ‘박은 맛이 써서 먹을 수는 없지만 물을 건너게 할 수는 있다’는 기록이 있다. 유명한 <장자(莊子)>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장자는 혜자(惠子)에게 이런 말을 한다. “이제 그대에게 박 다섯 덩이가 있으니 능히 강이나 호수에 뜰 수 있을 걸세.” 중국 문헌기록에 따른다면 박은 이미 춘추시대부터 물을 건너는 기구로 쓰이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호공이 허리에 찬 박도 틀림없이 이런 박 문화의 산물일 것이다. 알에서 난 혁거세 성씨도 박이라
알과 박 사이 이 무슨 관계람
게다가 박을 타고 바다 건넜다니
호공은 왜인이요, 신라의 선주민?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