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4.16 19:51
수정 : 2019.04.17 07:43
|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왼쪽에서 세 번째)이 16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영화인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문체부 제공
|
장관 지명 때 영화계 반발 의식한 듯
첫 만남 갖고 상영?배급 겸업 문제 등 경청
“영화계와 협력해 법 개정 등 모색” 약속
|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왼쪽에서 세 번째)이 16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영화인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문체부 제공
|
영화계의 대표적 투자배급 대기업인 씨제이이엔엠(CJ ENM) 사외이사 경력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 지명때 영화계 인사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던 박양우 신임 장관이 이들과 만나는 것으로 영화쪽 첫 공식 행보에 나섰다.
박 장관은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반독과점 영화인대책위원회(이하 영대위) 소속 인사들과 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위원장을 만나 대화를 나눴다. 영대위는 박 장관이 씨제이 이엔엠 사외이사, 한국영화배급협회장 등을 역임하며 대기업의 이해만을 반영해왔다면서 박 장관의 취임을 반대했었다. 영대위를 대표해 간담회에는 이은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 최용배 한국영화제작가협회 부회장, 원승환 인디스페이스 부관장, 배장수 영대위 대변인, 박경신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위원, 김병인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대표, 낭희섭 독립영화협의회 대표가 참석했다.
박 장관은 이날 모두 발언에서 “현장 수요를 맞추지 못하는 공급 정책은 정책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의견을 듣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며 영화계 요구를 기탄없이 말해달라며 말문을 열었다.
영대위는 박 장관에게 극장업(상영)과 영화유통업(배급)의 겸업 금지를 포함한 스크린 독과점 문제, 디지털 영사기 사용료 폐지, 극장 부율(배급사와 극장 입장수입 배분비율)의 현실화, 무료초대권 정상화, 모태펀드 대기업 투자제한 등 영화계 산적한 현안에 대해 정부의 관심을 요청했다. 또 전년과 같거나 축소된 올해 독립영화 개별사업 예산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면서 독립영화에 대한 지원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박 장관은 “영화계와 협력하여 법 개정을 포함해 적합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현 가능한 것부터 먼저 추진하여 당면한 독과점 문제를 지혜롭게 풀어가자”고 화답했다. 덧붙여 박 장관은 공정한 영화산업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 영진위에서 독립기구로 개편한 공정환경센터 역할의 강화 등을 약속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인사는 “박 장관이 자신에 대한 오해가 있는 것 같다고 얘기하며 소신 있게 하겠다는 답변을 했다”면서 “당장 법 개정을 하겠다는 확언은 안 했으나 논의하는 자리를 계속 만들어가겠다고 했으니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