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슴 모양의 동물이 뒤돌아보는 순간의 모습을 형상화한 아라가야의 토기뿔잔. 5~6세기 아라가야 시대의 무덤떼인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의 45호분에서 최근 나온 이 작품은 빼어난 조형미를 지닌 가야시대 상형토기의 최고걸작으로 평가된다. 사슴이 뒤를 바라보는 순간의 특징을 절묘하게 포착한 머리통 부분의 사실적 표현과 불룩하면서도 유연한 타원형 몸체의 초현실적인 이미지, 브이(V)자 모양의 뿔잔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어우러진 작품이다. 애초 머리 부분이 사라진 채 몸체 뿔잔 부분만 출토되어 언론에 공개됐다가 공개 직후 무덤 묘실 바닥에서 사슴모양의 머리쪽 부분이 발견되면서 서로 맞붙여 온전한 모양새를 되찾게 됐다.
|
최근 함안 말이산 아라가야 45호고분서 나온 상형토기
깨진 몸체만 공개된 직후 무덤 안에서 사슴 머리쪽 추가발견
맞춰보니 가야 조형미 정점 보여주는 최고의 걸작
전문가들 “아라가야예술의 최고 정점” 극찬
|
사슴 모양의 동물이 뒤돌아보는 순간의 모습을 형상화한 아라가야의 토기뿔잔. 5~6세기 아라가야 시대의 무덤떼인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의 45호분에서 최근 나온 이 작품은 빼어난 조형미를 지닌 가야시대 상형토기의 최고걸작으로 평가된다. 사슴이 뒤를 바라보는 순간의 특징을 절묘하게 포착한 머리통 부분의 사실적 표현과 불룩하면서도 유연한 타원형 몸체의 초현실적인 이미지, 브이(V)자 모양의 뿔잔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어우러진 작품이다. 애초 머리 부분이 사라진 채 몸체 뿔잔 부분만 출토되어 언론에 공개됐다가 공개 직후 무덤 묘실 바닥에서 사슴모양의 머리쪽 부분이 발견되면서 서로 맞붙여 온전한 모양새를 되찾게 됐다.
|
|
지난 5월말 말이산 45호분 발굴성과를 발표할 당시 공개됐던 사슴모양 뿔잔의 애초 모습. 당시엔 상반신이 깨어져 사라진 상태였기 때문에 어떤 동물인지 알 수 없어 동물모양 뿔잔으로 표기됐었다.
|
|
지난 5월말 말이산 45호분 발굴성과를 발표할 당시 무덤주인의 묘곽서 나온 출토품으로 공개됐던 아라가야 상형토기들. 집과 배, 등잔 모양 상형토기들 사이로 머리통 없이 깨어진 사슴형 상형토기뿔잔(당시엔 동물형 뿔잔으로 표기)의 애초 모습이 보인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