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명섭 논설위원의 직격인터뷰 / 도올 김용옥 전 고려대 철학과 교수
19세기 정한론 주창자들의 직속 후예가 아베와 아소
경제보복은 일본 국민 근본 이익 해치는 자해적 행동
‘아베의 퇴행’에 맞서 싸운다는 자부심과 믿음 가져야
이번 싸움 통해 일본 반성 끌어낸다면 세계사적 의미
한·일 지도자·국민 모두 자아집착 떨쳐내는 지혜 필요
남북, 하나로 힘 모을수록 일본에 대한 대처도 쉬워져
도올 김용옥 전 고려대 철학과 교수를 만나 격랑에 휩싸인 한-일 관계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도올은 특유의 거시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아베 정부가 도발한 경제전쟁의 이유를 진단하고 우리 국민이 일본 상품 불매운동을 포함한 주체적·집합적 대응을 강력히 펼쳐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베의 경제전쟁은 아베 개인과 아베 정권을 위한 것일 뿐이며 일본의 역사를 후퇴시키고 일본 국민의 근본 이익을 해치는 자해적 행동이라고 단언했다. 우리 국민이 견고하고 지속적으로 아베 정부의 경제도발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는 것이 일본의 시민사회와 양심세력의 각성을 돕는 길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인터뷰는 아베 내각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우대국)에서 배제하기로 결정한 지난 2일 도올의 집필실이 있는 서울 종로구 동숭동 통나무출판사에서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정부가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규제 발표에 이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빼는 두번째 도발을 감행했습니다. 도대체 왜 아베 총리는 무모한 경제도발을 강행한 걸까요.
“트럼프가 중국을 압박하는 것은 이해할 만한 구석이 있죠. 워낙 무역적자가 심한 상황에서 미국으로서는 출혈을 감수하면서 중국을 키워주는 입장이기 때문에 중국을 통제하려고 하는 것이죠. 그런데 아베의 경제보복은 전혀 달라요. 일본은 한국에 대해 수십년 동안 무역흑자를 보았고, 그런 구조가 안착돼 있어요. 더구나 한-일이 무역에서 지금까지 나름대로 ‘윈윈 관계’를 유지해왔는데 갑자기 물건을 팔던 사람이 ‘안 팔겠다’ 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예요. 일본 경제가 (미국처럼) 세계를 지배하는 수준도 아니고 내적으로 외적으로 모순이 많은 상태에서 그런 무모한 행동을 하는 건 아베 정부가 가미카제 특공대와 같은 정신상태라는 걸 보여줍니다.”
―자해적 공격이죠.
“역사를 잠깐 보면, 19세기 메이지유신 전에 일본은 막부 체제였어요. 이 막부 체제가 어떤 의미에선 지방분권 체제예요. 정교하게 권력균형을 이루고 있었죠. 이걸 바꿔서 천황 중심의 중앙집권적인 통일국가로 만든 것이 메이지유신이거든요. 이 메이지 체제를 만들면서 일본은 막부 체제가 가지고 있던 건강성을 완전히 상실해 갑니다. 그런데 외면적으로는 메이지 체제가 정치·경제·군사적으로 일본이 강대해지는 데 굉장히 효율적인 체제였기 때문에 역사학자들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해왔어요. 그러나 인류사적으로 보면 메이지유신은 오히려 과거로 퇴보하는 퇴행 현상입니다.”
―메이지 체제가 형식적 근대화 속에서 내용적 후퇴였다는 것이죠?
“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근대화 과정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가 빠졌습니다. 보편주의 사고가 근대화의 핵심인데, 일본은 이 보편주의를 상실하는 방향으로만 근대화를 진행시킵니다. 국수주의적 편견이 강화된 거죠. 그런데 이 메이지유신의 산물 가운데 하나가 정한론입니다. 메이지유신으로 갈 곳을 잃은 사무라이들을 모아 한국(조선)을 정벌하고 거기에 새로운 번(막부시대 다이묘가 지배하던 지방 영지)을 만들자는 것이 정한론입니다. 이 정한론을 주창한 사람들이 메이지유신의 주역인 사쓰마번과 조슈번 무사들이에요. 이번에 경제전쟁을 일으킨 아베 신조가 조슈 사람이고 그 내각 부총리인 아소 다로가 사쓰마 사람이에요. 과거 정한론을 만든 핵심 세력이 다시 등장한 거란 말이죠. 이 사람들이 ‘지금 이 나라는 비정상 국가다, 미국이 (전후에) 통치하면서 만든 헌법을 갈아치우자, 우리 마음대로 전쟁할 수 있어야 정상국가 아니냐’ 이런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죠.”
|
도올 김용옥 전 고려대 철학과 교수가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통나무출판사에 있는 집필실에서 일본의 경제도발로 격랑에 휩싸인 한-일 관계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도올은 아베 총리의 경제전쟁은 일본 국민의 근본 이익을 해치는 가미카제 특공대 같은 행위라고 비판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
|
고명섭 논설위원의 직격인터뷰.
|
|
도올 김용옥 전 고려대 철학과 교수(오른쪽)가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통나무출판사에 있는 집필실에서 고명섭 <한겨레> 논설위원과 인터뷰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
“이승만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명예훼손이라니”
이승만 양자의 고소에 대한 도올의 항변
도올 김용옥 전 고려대 철학과 교수는 사상사와 정신사의 맥을 짚는 저작을 쉬지 않고 써온 철학자이자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책을 여러 권 쓴 전방위 학자다. 1974~77년 도쿄대 중국철학과 석사과정을 이수한 일본 유학파이기도 하다. 방송을 통한 철학·역사 강의도 활발히 하는 도올은 올해 초 <한국방송>(KBS) 프로그램 ‘도올 아인 오방간다’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토크쇼 형식으로 강의하기도 했다.
이 방송 중에 ‘이승만은 미국의 괴뢰’라는 주장을 했다는 이유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양자인 이인수씨가 이승만학당 대표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를 대리인으로 세워 도올을 ‘사자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도올은 “학자로서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역사적 해석을 한 것인데, 고소로 대응한 데 대해 슬픔과 모멸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도올은 “이승만에 대한 평가는 학자적 양심에 따라 사실에 근거해 내린 것이기 때문에 법정이 아닌 학술회의장에서 자유로운 토론으로 풀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