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03 18:24 수정 : 2005.08.03 18:26

‘팝콘 엔 어 마마 후 러브스 미 투’


몰리 펠더(보컬)와 빌 드메인(기타)의 ‘스완다이브’가 최근 내놓은 <팝콘 앤 어 마마 후 러브스 미 투>는 쉼표 같은 앨범이다. 1960년대 복고적 멜로디가 산들바람처럼 지친 정신을 달래준다. 사랑스런 리듬에 동동 떠가다보면 플루트, 비브라폰 등이 싱그럽게 귀를 간지럽힌다. 1993년 미국에서 결성된 ‘스완다이브’는 일본에서 더 인기를 끌고 있다. 다음은 작은 마을 내쉬빌에서 날아온 ‘스완다이브’의 따뜻한 전자우편이다.

-이번 앨범은 행복한 느낌이 넘치네요. 그렇게 즐거운 비결이 뭔가요?

드메인=사실 슬픔과 즐거움이 모두 담겨있어요. 낙관적인 사운드인 ‘위아 투’도 인간관계의 곡선을 그리고 있죠. 첫 만남의 떨림, 다툼, 결별까지요. ‘문 바이올렛’ 등은 모두 행복하고 진솔한 사랑 얘기죠. 실제로 사랑에 빠진 게 도움이 됐어요. 열정과 흥분이 모두 노래에 담겼죠.

펠더=항상 낙관적이 되려고 하는데 쉽진 않아요. 기분 전환에는 자전거 타기가 안성맞춤이에요. 이곳엔 자전거 타기 좋은 아름다운 곳이 많아요. 노래를 부르며 타다보면 무척 즐거워져요.

-이번 앨범에서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요?

펠더=이번 앨범이 편하고 따뜻해서 좋아요. 녹음하면서 아주 즐거웠거든요. 팬들도 그렇게 느꼈으면 좋겠어요. 다음에는 보사노바 느낌이 더 나는 노래들을 만들어보고 싶어요.

드메인=좋은 세션들과 함께 녹음한 게 따뜻한 느낌을 내는데 한몫했어요. 예를 들어 ‘겟백 투게더’는 기타, 드럼, 키보드, 베이스의 대화죠. 저희는 언제나 듣는 사람들과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요. 그들의 개인적 경험, 느낌과 닿아있길 바라죠.


-1960년대 팝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나요?

드메인=여러 세대 음악을 즐겨요. 물론 1960년대는 작사·작곡, 실험 등 모든 면에서 창의력이 ‘폭발’하는 시기였어요. 비틀즈, 버트 바카락, 비치보이즈 등 이 시대 음악가들을 무척 좋아하는데 이게 우리 노래에 반영된 듯해요.

-왜 한국과 일본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고 생각하세요?

드메인=그곳 사람들 마음이 열려 있기 때문이겠죠. 또 바쁘고 스트레스 많은 삶에서 우리 음악이 지친 오후에 마시는 따뜻한 차 같다고 느끼는 것 같아요.

-지난해에 콘서트를 하셨는데 다시 한국에 오실 계획 없나요?

펠더=와우, 물론 다시 가고 싶죠. 지난해 서울에서 만난 관객들은 정말 굉장했어요.

드메인=이번 가을이면 좋겠어요. 또 다음 보사노바 풍의 앨범에 한국의 ‘클래지콰이’의 ‘젠틀레인’에 영어 노랫말을 붙여볼 거예요.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