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16 19:14 수정 : 2005.01.16 19:14

정부, 청년층·취약계층 직업훈련 등

정부는 올해 노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과 청년층 등 약 46만명에게 직업훈련과 연수, 일자리 등을 지원하기로 하고, 예산 1조4천억원을 배정했다. 이는 올해 정부가 목표로 하는 일자리 40만개 창출과는 별도로 진행되는 일자리 보완 사업이다.

16일 기획예산처는 경기 회복 지연에 따라 민간의 일자리 창출에 시간이 좀 걸린다고 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원 분야는 △청년실업 대책 △사회적 일자리 지원 △취약계층 일자리 및 직업훈련 지원 등 크게 세가지다.

우선 정부는 청년실업 대책으로 청년층 취업 지원을 위해 모두 7885억원을 들여, 25만3천명에게 취업훈련과 인턴 및 장단기 일자리를 제공하기로 했다. 사업 내용으로는 △직장 체험 활성화(8만2천명) △단기 일자리 제공(1만9천명) △국외취업 인턴 활성화(4900명) △직업훈련 강화(6만1천명) △중소기업 유휴 일자리 충원(3만명) 등이다. 이밖에 행정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행정자치부)과 중소기업 전문인력 채용 지원(노동부), 전문대학생 국외인턴십(교육부) 등이 올해부터 새로 도입된다. 청년실업 대책에는 올해 공무원과 공기업의 5만4천명 채용도 포함된다.

정부는 또 사회적으로 필요하지만 수익성이 낮아 시장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적 일자리’ 지원 사업을 위해 1532억원의 예산을 배정해, 모두 4만명에게 기회가 돌아가게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방문도우미 사업(7천명) △숲가꾸기 사업(2천명) △보육시설 일자리(4280명) 등이 추진된다.

이와 함께 정부는 노인과 여성 등 취약계층의 일자리 지원을 위해 △자활근로사업(6만명) △재취직 훈련 지원(5만4천명) 등을 추진하는 데 모두 4661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기획예산처 관계자는 “올해 공공부문 일자리 지원 규모는 지난해보다 10만개 정도 늘어난 것”이라며, “다만 단기 일자리 제공과 직업 훈련 등을 통해 취업 능력과 근로 의욕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것이어서 실제 일자리 창출 효과는 3만~4만개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곤 기자 cs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