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06.09 22:23 수정 : 2014.06.09 22:23

미래전략실 고위직 “현실화 어렵다”
수혜주 물산·전자 주가 급락세
3세들 40~50% 지분확보 어려움

일부 전문가 “지주사 전환 실익없어”
“법개정 통한 우호환경 기대” 분석도

삼성의 에버랜드 상장 추진 발표 이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의 3세 승계 차원에서 유력시돼온 지주회사체제 전환 가능성에 대해 삼성이 부정적 태도를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주식시장에서는 삼성의 지주회사체제 전환 수혜 예상주로 꼽히던 물산과 전자의 주가가 급락세로 돌아서고, 전문가들 간에도 향후 삼성의 행보를 놓고 견해가 엇갈리는 등 파장이 크다.

삼성의 미래전략실 고위 임원은 9일 삼성의 지주회사체제 전환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3일 에버랜드 상장 추진 발표 이후 금융시장에서 유력하게 제시된 다양한 지주회사 전환 시나리오를 부정한 것이다. 그동안 나온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1단계로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을 각각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나눈 뒤 지주회사끼리 합병을 하고, 2단계로 에버랜드를 금융과 비금융으로 나누고, 3단계로 삼성전자·물산 지주회사를 비금융에버랜드와 합병해 삼성지주를 만드는 방안이다. 이를 통해 비금융쪽은 이재용 부회장-삼성지주-삼성전자-삼성에스디아이·삼성전기 등의 순서로, 금융쪽은 이재용 부회장-에버랜드금융-삼성생명-나머지 금융 계열사 순서로 각각 지배한다는 것이다. 이 방안은 에버랜드를 제외한 계열사 지분이 극히 낮은 이재용 부회장의 지주회사 지분을 대폭 높일 수 있고, 후진적 순환출자 구조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해 지배구조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게 장점으로 꼽혔다.

하지만 삼성은 이런 방법으로는 3세들이 지주회사를 안정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40~50%의 지분 확보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기업가치가 200조원 정도인 삼성전자를 지주회사로 전환하면 사업회사 140조원, 지주회사 60조~70조원으로 나뉘게 된다. 총수일가는 삼성전자지주 지분이 5%도 안되기 때문에, 공개매수(사업회사 주식을 지주회사 주식으로 교환) 방식으로 지주회사 지분율을 높여도 20%를 넘기기 어렵다. 삼성물산을 지주회사로 전환해 삼성전자지주와 합쳐도 총수일가의 지분상승은 제한적이다. 삼성물산의 기업가치(20조원)가 작은데다, 총수일가의 지분이 1.3%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총수일가 지분이 50%에 육박하는 에버랜드와 삼성전자·물산지주를 다시 합쳐 삼성지주를 만들면 지주회사 지분을 좀더 높일 수 있지만, 에버랜드 기업가치가 10조원 이하로 작아, 역시 지분상승폭이 크지 않다. 삼성의 고위임원은 “총수일가의 삼성지주 지분이 20~30%에 불과한 상황에서 외부 적대세력이 30조원 정도만 동원해 공격하면 자칫 삼성 전체의 경영권이 위험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 대안은 이재용 부회장-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의 지배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의 시각도 엇갈린다. 재벌 지배구조 전문가인 김진방 교수(인하대)는 “삼성이 현행 지배구조를 유지하는데 특별한 문제가 없고, 지주회사 전환에 따른 실익도 크지 않다”며 가능성이 낮다는 쪽에 무게를 실었다. 김 교수는 삼성이 지주회사 전환시 총수일가가 최대로 확보 가능한 지주회사 지분을 20~30%로 전망했다. 반면 삼성의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해온 경제개혁연대는 “시점 문제는 있지만, 삼성은 결국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할 것”이라며 지주회사 가능성에 방점을 두었다.

일부에선 삼성이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포기한 게 아니라, 여론의 흐름을 보며 세부 시행방안과 시점을 저울질 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의 한 고위임원도 “지주회사로 가면 지배구조를 확실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삼성이 뜸을 들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두가지 가능성이 제시된다. 첫째로, 법개정을 통해 지주회사 전환에 우호적인 환경 조성을 기대한다는 것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상 일반 지주회사의 경우 금융사 주식을 5% 이상 보유할 수 없다. 공정위는 수년 전부터 일반 지주회사도 중간금융지주회사 형태로 금융사 지분을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의 공정거래법 개정을 추진했으나, 야당이 삼성 특혜라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지주회사 전환에 따른 총수일가 지분 상승에 대한 부담감이다. 총수일가가 지주회사 전환을 활용해 신규로 돈을 넣지도 않으면서 지분율을 현행 5% 이하에서 40% 전후로 10배 가까이 끌어올릴 경우 자칫 1990년대 말 삼성에버랜드 주식 헐값 인수로 인한 편법·불법 상속논란에 버금가는 파문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