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04 16:04 수정 : 2005.01.04 16:04

4일 증시에서 삼성SDI[006400]가 씨티그룹의 `매도' 권고에 급락하는 등 기술주들이 내림세를 탔지만 외국계 증권사들의 기술주에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잇따랐다.

이날 오후 2시 현재 삼성SDI는 전날보다 5.8% 급락했으며 LG필립스LCD[034220]는 4.0% 하락하는 등 디스플레이 종목의 낙폭이 컸다.

또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는 각각 0.78%, 1.54% 내렸다.

이에 반해 하이닉스[000660]는 0.86% 올라 대형 기술주 가운데 유일하게 강세를보였다.

◆삼성SDI 급락..씨티그룹 `매도' 의견 여파 삼성SDI의 급락은 이날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이 지난해 4.4분기 영업이익은전분기대비 75% 급감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9만8천원에서 7만1천원으로 크게 낮추고 투자의견을 `매도'로 제시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의 구본준 애널리스트는 원/달러환율 하락과 공급 과잉에 따라 PDP와 CRT, 모바일 디스플레이 등의 부문에서 강한 수익성 하락 압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PDP TV의 가격 하락으로 PDP 패널 출하량은 지난해 4.4분기에 48% 증가했지만 평균판매단가는 9%(원화 기준으로는 14%) 하락했기 때문에 PDP부문의 손실은지난해 4.4분기에 70억원을 기록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 부문의 손실규모는 올해 1.4분기에 120억원, 2.4분기에는 150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그는 CRT와 모바일 디스플레이부문의 이익도 크게 낮아질 것이라며 올해연간 주당순이익 예상치를 7천34원으로 종전보다 28% 낮췄다.

◆"기술주 바닥 다지는 중" 씨티그룹과 달리 UBS와 골드만삭스, 크레디스위스퍼스트보스턴(CSFB), 크레디니요레(CLSA) 등은 한국 등 아시아의 기술주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UBS증권은 이날 삼성전자와 삼성SDI 등이 지난 연말 특별상여금을 지급함에 따라 당초 이들 기업의 실적은 올해 1.4분기에 바닥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미 지난해4.4분기가 바닥이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UBS증권은 또 특별상여금이 일회성 비용이므로 현 실적 전망치에 근거해 삼성SDI에 대한 12개월 목표가를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골드만삭스도 이달 전반(1~15일)의 TFT-LCD 패널가격은 시장의 우려와 달리 약보합에 그칠 것이라며 TFT-LCD 업황은 바닥을 다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TFT-LCD 패널 주력제품인 17인치 제품 가격은 지난해 12월 144∼166달러 수준에서 이달 전반기에 130∼135달러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으나업계 확인 결과 그러한 가격에 제공하겠다는 업체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1월 상반기 17인치 패널가격이 지난해 12월 하반기 가격 155∼160달러에 비해 보합 내지 2% 하락한 155달러 부근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골드만삭스는 대만의 LCD 선두업체인 AU옵트로닉스와 치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에 대한 투자의견은 `비중 확대(outperform)'를 유지했다.

이밖에 메릴린치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의 반도체 주식은 글로벌 업체보다 저평가된 것으로 보이며 하이닉스와 대만의 파워칩이 가장 저평가된 종목으로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2만6천원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CSFB도 1.4분기 한국증시 투자전략 보고서를 통해 한국 증시에 대해 방어적 전략을 유지하지만 기술주의 비중을 늘리는 기회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CSFB는 또 올해 시장 컨센서스가 지나치게 낙관적이지만 국내 연기금과 자사주 매입 등의 수급측면은 긍정적이라며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을 가장 전망이 좋은 10위종목에 포함시켰다.

아울러 CLSA도 올해 기술주들은 성장 둔화세가 불가피하지만 TFT-LCD는 디지털 가전으로의 변화 추세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CLSA는 또 삼성전자와 인포시스 등 대형 기술주가 유망하다며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는 올해 성장세 둔화를 반영한 상태지만 제품 디자인과 현금창출, 업계 선두 지위 등에 따라 주가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