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11 13:45 수정 : 2019.12.11 14:30

문재인 대통령이 유영민 과기부 장관, 박영선 중기부 장관, 성윤모 산자부 장관 등과 지난 8월 7일 오후 로봇 감속기 등 부품 제조업체인 김포 에스비비테크를 방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일본 수출규제 조치 이후 국산 경쟁력 위해 지원 늘려
미래 먹거리 빅3·수출 활기 제고 위한 금융지원도 강화

문재인 대통령이 유영민 과기부 장관, 박영선 중기부 장관, 성윤모 산자부 장관 등과 지난 8월 7일 오후 로봇 감속기 등 부품 제조업체인 김포 에스비비테크를 방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산업통상자원부의 내년도 소재·부품·장비 산업 지원 예산이 올해보다 갑절 가까이 늘어났다. 일본의 수출제한 조치 이후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국산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것이다.

산업부는 총 9조4367억원 규모의 ‘2020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 계획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돼 최종 확정됐다고 11일 밝혔다. 본래 정부 예산안은 9조4608억원이었으나 국회 심의 과정에서 1244억원이 증액되고, 1485억원이 감액되었다. 2019년 예산보다 23% 늘어난 것으로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는 범정부 차원의 기조가 반영된 것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가장 눈에 띄는 증액은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소재·부품·장비 산업 지원 예산으로 2019년 6699억원에서 2020년 1조2780원으로 두배가량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소재·부품 기술개발 사업 예산이 2배 이상 증가했고, 전략소재 자립화 기술개발 사업 등 신규 사업 예산도 확보됐다.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이른바 ‘빅3 핵심산업’에 대한 지원과 로봇·수소경제 등 신산업 분야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 예산도 늘어났다.

또 올해 수출 부진을 고려해 무역금융 확충, 수출마케팅 지원 확대 등을 위한 예산도 대폭 늘어났다. 무역금융 분야는 올해 350억원에서 내년 2960억원으로 대폭 늘었고, 늘어나는 통상 분쟁 대응 예산도 234억원(2019년 92억원)을 확보했다. 에너지 전환 정책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은 1조2071억원으로 늘어났으며, 에너지 안전·복지 관련 예산도 각각 2026억원과 2563억원으로 증액됐다.

산업부는 “혁신성장 및 경제활력 제고를 촉진하기 위해 내년 예산이 대폭 증액된 만큼 신속한 집행이 가능하도록 사업계획 수립 등 준비를 철저히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