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연초부터 대대적인 인사개혁에 나선다. 정부 부처로서는 처음으로 모든 국장직위에 대한 내부공모를 실시하는 동시에 이른바 '국장 직무성과 계약제'를 도입해 인사의 투명성을 높이고 능력있는 인물을 발탁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지금까지도 관행으로 여겨지는 정부부처의 서열 중시, 순환보직 방식의 인사 행태를 깨는 획기적인 변화로, 내년 범정부 차원에서 도입하는 '고위 공무원단 제도'와 함께 전 부처에 적지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거래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5일 "그동안 지적돼 온 인사적체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내부 인사혁신을 위해 전 국장직위에 대한 공모를 실시키로 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정위는 개방직인 심판관리관, 부처간 교류직인 하도급국장, 공보관을 제외한 11개 국장직위에 대해 당장 이달 중순께 내부공모를 거쳐 조만간 정기인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 부처에서 일부 특수부문의 국.과장 직위에 대해 인사공모를 실시하는 경우는 많았으나 부처내에서 사실상 모든 국장직에 대한 공모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장직위 공모는 부이사관(3급) 이상의 모든 간부들이 희망보직을 신청하면 다면평가와 직원들의 직위 적격자 평가를 거쳐 내부 인사위원회에서 복수의 추천자를 선정한뒤 위원장이 최종 선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원칙적으로 1년에 한차례씩 정기인사 차원에서 이뤄지고 수시로 인사수요가 생길 경우에도 같은 방식이 적용된다. 아울러 공정위는 이번 인사에서 선임된 국장들에 대해서는 위원장과 직무성과 계약을 체결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정위는 자체 평가지표를 마련중이며, 기준에 미달하는 국장에 대해서는 다음 인사 때 불이익을 줌으로써 무사안일한 간부는 축출해 낸다는 방침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그동안의 인사관행으로는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전격적으로 결정됐다"며 "침체된 조직의 분위기를 일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공정위, 대대적 인사개혁 나선다 |
전 국장 지위에 대한 ‘공모제’실시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연초부터 대대적인 인사개혁에 나선다. 정부 부처로서는 처음으로 모든 국장직위에 대한 내부공모를 실시하는 동시에 이른바 '국장 직무성과 계약제'를 도입해 인사의 투명성을 높이고 능력있는 인물을 발탁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지금까지도 관행으로 여겨지는 정부부처의 서열 중시, 순환보직 방식의 인사 행태를 깨는 획기적인 변화로, 내년 범정부 차원에서 도입하는 '고위 공무원단 제도'와 함께 전 부처에 적지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거래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5일 "그동안 지적돼 온 인사적체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내부 인사혁신을 위해 전 국장직위에 대한 공모를 실시키로 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정위는 개방직인 심판관리관, 부처간 교류직인 하도급국장, 공보관을 제외한 11개 국장직위에 대해 당장 이달 중순께 내부공모를 거쳐 조만간 정기인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 부처에서 일부 특수부문의 국.과장 직위에 대해 인사공모를 실시하는 경우는 많았으나 부처내에서 사실상 모든 국장직에 대한 공모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장직위 공모는 부이사관(3급) 이상의 모든 간부들이 희망보직을 신청하면 다면평가와 직원들의 직위 적격자 평가를 거쳐 내부 인사위원회에서 복수의 추천자를 선정한뒤 위원장이 최종 선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원칙적으로 1년에 한차례씩 정기인사 차원에서 이뤄지고 수시로 인사수요가 생길 경우에도 같은 방식이 적용된다. 아울러 공정위는 이번 인사에서 선임된 국장들에 대해서는 위원장과 직무성과 계약을 체결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정위는 자체 평가지표를 마련중이며, 기준에 미달하는 국장에 대해서는 다음 인사 때 불이익을 줌으로써 무사안일한 간부는 축출해 낸다는 방침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그동안의 인사관행으로는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전격적으로 결정됐다"며 "침체된 조직의 분위기를 일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연초부터 대대적인 인사개혁에 나선다. 정부 부처로서는 처음으로 모든 국장직위에 대한 내부공모를 실시하는 동시에 이른바 '국장 직무성과 계약제'를 도입해 인사의 투명성을 높이고 능력있는 인물을 발탁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지금까지도 관행으로 여겨지는 정부부처의 서열 중시, 순환보직 방식의 인사 행태를 깨는 획기적인 변화로, 내년 범정부 차원에서 도입하는 '고위 공무원단 제도'와 함께 전 부처에 적지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거래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5일 "그동안 지적돼 온 인사적체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내부 인사혁신을 위해 전 국장직위에 대한 공모를 실시키로 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정위는 개방직인 심판관리관, 부처간 교류직인 하도급국장, 공보관을 제외한 11개 국장직위에 대해 당장 이달 중순께 내부공모를 거쳐 조만간 정기인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 부처에서 일부 특수부문의 국.과장 직위에 대해 인사공모를 실시하는 경우는 많았으나 부처내에서 사실상 모든 국장직에 대한 공모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장직위 공모는 부이사관(3급) 이상의 모든 간부들이 희망보직을 신청하면 다면평가와 직원들의 직위 적격자 평가를 거쳐 내부 인사위원회에서 복수의 추천자를 선정한뒤 위원장이 최종 선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원칙적으로 1년에 한차례씩 정기인사 차원에서 이뤄지고 수시로 인사수요가 생길 경우에도 같은 방식이 적용된다. 아울러 공정위는 이번 인사에서 선임된 국장들에 대해서는 위원장과 직무성과 계약을 체결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정위는 자체 평가지표를 마련중이며, 기준에 미달하는 국장에 대해서는 다음 인사 때 불이익을 줌으로써 무사안일한 간부는 축출해 낸다는 방침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그동안의 인사관행으로는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전격적으로 결정됐다"며 "침체된 조직의 분위기를 일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