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1.17 12:18
수정 : 2019.11.17 13:50
금융위,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
“개별 금융사 평가 안해”
금융당국이 올해 처음 은행권 일자리 창출효과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14개 은행의 직·간접 고용인원은 14만2천여명으로 집계됐다. 은행의 기업대출에 따른 추가 고용 유발 인원은 1만3천여명으로 추정했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이런 내용을 담은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 14곳(KB, 신한, 우리, KEB하나, NH, 수협, SC, 씨티, 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제주)의 직접 고용인원은 10만1천명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대출을 하지 않는 인터넷전문은행과 별도로 일자리 창출을 측정하는 국책은행은 제외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11만2천명) 이후 추세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점 축소 등 경영효율화 이유로 영업·경영지원 인력은 축소되고 있지만, 아이티(IT) 인력은 소폭 늘고 있다.
은행권이 파견이나 계약 등으로 간접고용하는 인원은 3만1천명으로 조사됐다. 간접고용의 구성은 콜센터 등 민원대응 인력(20.9%)과 경비 등 보안 인력(20.5%) 비중이 크고 아이티(13.9%), 대출·카드모집인(11.9%), 채권추심(2.7%) 순서대로 비중이 컸다.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에 따른 콜센터 인력과 비대면 증가로 아이티 인력은 늘었지만, 대출·카드모집인은 3년새 약 1천여명이 줄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기업대출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 측정도 이뤄졌다. 금융위는 지난해 국내은행의 신규 기업대출 취급액(206조1천억원) 10억원당 1년간 0.065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한다고 계산해 약 1만3천여명이 추가 고용됐다고 추정했다. 이는 2010년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연구결과를 인용한 것으로, 제1금융권 신규자금공급 10억원당 1년간 0.065명의 신규고용 창출이 이뤄진다는 산식을 가져다 쓴 것이다. 금융위는 이 추정치를 두고 “대출의 고용유발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만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고용증가에 따라 운영자금 수요가 늘어 대출이 증가하기도 하므로, 단순히 대출 증가에 따라 고용이 증가한다는 인과관계로 해석하기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금융산업 전체 취업자는 83만1천명이었다. 금융회사 임직원이 38만4천명, 설계사 및 모집인이 44만7천명이었다. 2015년부터 전 업권이 꾸준히 감소세인 가운데, 자산운용사 진입규제 완화 등으로 금융투자업 임직원수만 증가했다.
금융위는 최근 비대면거래 확대 등 전통적 판매채널의 인력 감축은 전세계적 현상이라고 진단하며, 이에 지속적인 진입규제 완화로 금융권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신남방국가 등 진출 수요가 높은 곳으로 금융사의 해외진출도 함께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변화하는 금융 인력 구조에 맞춰 금융회사 임직원 대상 교육을 강화하고, 금융권 퇴직자의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재취업 지원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개별 금융사의 고용 실적을 발표하지는 않겠다고 강조했다. 일자리 창출효과를 측정한다는 것만으로도 시장에서는 ‘고용 줄세우기’ 아니냐는 우려가 일었었다. 이세훈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개별 은행 평가와 관련해서는 방법론상의 한계가 있었다”며 “전체적인 분석결과만 정책적으로 참고하고 개별 평가는 따로 측정하지 않는게 낫겠다고 결론내렸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