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5.18 19:25 수정 : 2016.05.18 22:29

다가오는 드론·자율차 시대

지금껏 농약살포·촬영 등으로 제한
누구나 드론 광고·배송 창업 가능
조종 교육기관도 6~7곳으로 증설
일부선 범죄 악용·사생활 침해 우려

1910년대 살상용 군사무기로 연구가 시작됐던 드론(무인항공기)은 21세기 들어 측량, 재해 감시 등으로 영역을 빠르게 넓혀왔다. 최근에는 그 영역이 말 그대로 사람을 살리는 일까지 넓혀졌다. 중국 드론 업체 ‘이항’(EHang)과 미국의 폐 이식 전문업체 ‘렁바이오테크놀로지’는 이달 인간 장기를 나르는 드론 운행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15년 동안 드론에 장기를 실어 병원 사이를 빠르게 오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드론은 교통체증 걱정 없이 살아 있는 장기를 더욱 빨리 옮겨 더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다. 이항은 올해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사람을 태울 수 있는 ‘유인 드론’을 발표해 주목을 끈 업체이기도 하다.

세계의 정부기관과 민간단체들은 빠르게 드론의 활용 범위를 발견하고 있다. 인도 남부 카르나타카시 경찰은 최근 12대의 드론으로 구성된 드론 부대를 창시했다. 모두 우리나라 제품이다. 이들은 이 드론을 이용해 해안가의 불법적인 모래 채취를 감시한다. 미국의 ‘에어리온랩스’사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송전선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원자력 유출 피해 범위를 확인하는 데에는 영국의 드론이 쓰였다. 부산시 해운대구는 2014년 10월부터 드론을 이용해 산불 감시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 드론의 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 편이다. 지난해 국방기술품질원은 국내 드론 기술 수준이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에 이어 세계 7위 수준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같은 순위다. 하지만 산업적인 측면에선 두드러지지 못한 편이다. 민간 드론 시장을 연 기업은 미국의 ‘3디(D)로보틱스’로 지난해 5000만달러(약 59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유럽의 대표 기업으로는 프랑스의 ‘패럿’이 꼽힌다.

드론 고속도로

최근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드론 기업은 중국의 디제이아이(DJI)다. 지난해 매출 10억달러(1조1000억원), 세계 민간 드론 시장 점유율 70%를 기록했다. 국내 제조업체는 세계 시장에서 뚜렷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민간 드론 시장 규모는 2014년 6000만달러에서 2023년 8억8000만달러로 연평균 35% 성장이 점쳐진다.

우리나라는 활용 면에서도 뒤처지는 편이다. 가장 주목을 받아온 업체는 드론 택배를 가장 먼저 대대적으로 알린 미국의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다. 이 업체는 범용 배송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항공기, 헬기 등과 충돌을 막기 위해 지난해 미국 정부에 운항 고도별 항공교통 관제계획을 제안하기도 했다. 세계적인 물류업체 디에이치엘(DHL)은 독일에서 육지로부터 12㎞ 떨어진 섬에 의약품을 나르는 데 실제 드론을 활용했다. 김대진 케이디비(KDB)산업은행 연구위원(물류학 박사)은 관련 보고서에서 “드론 배송이 확대되면 배송의 정확성, 반품의 편리성 확대로 대여(리스) 시장이 확대되는 등 물류시장 구조가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국내 물류업계에서 드론은 본격적으로 도입되지 않았다.

세계적인 물류업체 디에이치엘(DHL)이 2013년 독일 본에서 드론을 이용한 택배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 드론은 최대 3㎏의 화물을 옮길 수 있다. AP 연합뉴스

18일 정부가 발표한 ‘드론 및 자율주행 규제혁신’ 방안은 이런 산업적 측면에 초점이 맞춰졌다. 농약 살포, 항공 촬영, 조종 교육 등 일부 분야에 사용된 용도의 빗장을 풀어 다양한 ‘드론 산업’을 일으키겠단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기업이 에드벌룬을 이용해 광고를 하는데, 드론을 이용하여 이를 움직이면 광고효과가 커진다. 드론을 이용한 광고사업이라는 새로운 시장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아이디어 확산을 위해 누구나 드론 사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문턱도 낮췄다. 기존에는 일정 자본이 필요했지만 앞으로 25㎏ 이하 소형 드론을 이용한 사업에 대해 자본금 규정을 없앴다. 현재 3곳인 드론 조종 교육기관도 올해 6~7곳으로 늘려 매년 1000여명의 ‘드론 조종사’를 배출시킬 예정이다. 전용비행 구역도 확대하고 인터넷에서 비행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쓰임새가 큰 만큼 부작용도 클 전망이다. 미국에선 드론을 이용해 교도소에 마약을 들이는 사례가 늘면서 골치를 썩고 있다. 거미줄처럼 도심을 누비는 드론이 촬영하는 영상이 감시도구로 쓰이게 되면, 폐회로텔레비전(CCTV)을 넘어선 강력한 감시망으로 프라이버시는 종말을 맞게 될 수도 있다. 강장묵 고려대 교수(컴퓨터공학)는 “사용 확대에 걸맞은 보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드론은 우리 삶을 테러하는 도구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권오성 김소연 기자 sage5th@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