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9.11 11:08
수정 : 2017.09.11 21:12
|
이재웅 다음 창업자 겸 벤처기업협회 부회장.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9일 “김상조 공정위원장 오만하다” 글 논란에
“공직자가 기업가 비평하는 행위 비판한 것…
부적절한 단어 쓰고 상세한 설명 안해 오해 불러”
“오지랍 그만 떨고 내 일 하겠다”
|
이재웅 다음 창업자 겸 벤처기업협회 부회장.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을 “오만하다”고 비판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려 논란을 일으켰던 이재웅 다음 창업자 겸 벤처기업협회 부회장이 11일 “발언 취지가 와전됐고, 공정위의 대기업 규제 자체를 비판한 것은 아니다”라고 진화에 나섰다. 김상조 위원장도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경제민주화 관련 시민단체와의 간담회 모두 발언에서 “저의 부적절한 발언에 대해 많은 분이 질책을 해주셨는데 겸허하게 수용하고 공직자로서 더욱 자중하겠다”라고 말하며 수습에 나섰다.
이재웅 부회장은 이날 페이스북 개인 계정에 글을 올려 “총수 지정이나 대기업 집단 지정이 오만했다고 비판한 것이 아니었다. 공직자가 이해진 네이버 이사를 짧게 만나봤는데, ‘미래비전이 없다’고 비평한 행위를 비판한 취지였는데 일부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앞서 그는 지난 9일 페이스북에 “맨몸으로 정부 도움 하나도 없이 한국과 일본 최고의 인터넷 기업을 일으킨 사업가를 김 위원장이 이렇게 평가하는 것은 오만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동료 기업가로서 화가 난다”고 적었다. 이후 해당 글이 언론에 보도되며 논란이 일자 ‘오만’이라는 단어를 ‘부적절’로 수정했다.
업계에선 다음을 카카오에 넘겨 공정위 눈치를 볼 필요가 없는 이 부회장이 대표로 나서 작심 발언을 한 것 아니냐는 등의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발언으로 자신도 함께 평가절하됐다는 생각을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과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김정주 엔엑스씨(NXC·넥슨 지주회사),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등은 ‘1세대 벤처기업가’로 분류되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함께 사회공헌 사업도 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해명 글에서 “‘오만’이라는 단어를 쓴 것도 그렇고 상세한 해설을 하지 않은 것은 내 잘못”이라며 “맨몸으로 시작해 의미 있는 기업을 키워낸 사업가가 너무 존중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화가 나 짧게 얘기하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네이버 등이 준대기업 집단에 지정된 것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지 않다. 벤처에서 출발한 기업도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사회적 책무 때문에 정부의 감독·감시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내가 답답해하는 것은 총수가 지정되고 임원이 대주주인 기업이 대기업 계열사로 편입된다는 대목”이라며 “그렇지만 이 때문에 경영이 어려워지거나 투자유치가 무산되거나 공시 의무가 무거워지면서 회사 경쟁력이 크게 악화한다고 보진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네이버와 이해관계가 전혀 없고 이 전 의장과의 친분 때문에 김 위원장에 관한 비판 글을 올린 것도 아니다”며 “이를 마지막으로 오지랖을 그만 떨고 내 일을 하겠다”고 밝혔다.
|
페이스북 글 화면 갈무리
|
앞서 김 위원장은 <국민일보>(8일치 보도)와 인터뷰에서 이해진 네이버 전 이사회 의장을 면담한 사실을 언급하며 “이 전 의장은 애플의 스티브 잡스 최고경영책임자(CEO)처럼 우리 사회에 미래에 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해 아쉬웠다. 지금처럼 가다간 네이버가 많은 민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날 김 위원장도 자신의 인터뷰에 대해 ‘네이버 창업자 폄하’ 문제가 불거지자 고개를 숙였다. 김 위원장은 이재웅 부회장의 ‘오만’ 발언과 관련해 “정확하고 용기있는 비판을 해주신데 감사드리며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해진 전 의장에 대한 평가를 번복한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이어 “대규모기업집단 지정제도, 한국의 ICT(정보통신기술) 산업의 미래에 대해 우리 사회 전체가 숙고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다만 이런 숙고를 통해 생산적 결론을 내기 위해서 정부와 업계 모두 노력해야 공감대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섭 이완 기자
jskim@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