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6.17 19:29 수정 : 2018.06.17 22:53

그래픽_장은영

그래픽_장은영

“북 SW기술 정말 뛰어나요”
어린시절부터 영재교육 덕분
사물인터넷·AI에 차용 가능한
임베이드·알고리즘 탁월

성공 전력
2002~04년 뽀로로 공동제작
하나비즈닷컴 9년간 단둥서
음성인식SW 개발해 판매
삼성도 2000년 베이징서 합작

“제재 때문에…그래도 준비를”
북 문화유산 탐방 VR
이산가족 화상상봉은
지금도 할 수 있어…
중국은 북 개발자들과 사업중

북미 정상회담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철도·관광 등이 주요 협력분야로 거론되는 가운데, 북한의 소프트웨어 개발역량이 뛰어나다는 점을 들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경협이 우선순위에 올라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특히 북한이 강점을 드러내고 있는 기술분야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산업 혁명과의 연계가 가능한 분야라는 점에서 할 수 있는 영역에서부터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정보통신기술 남북경협’은 이미 15~16년 전 이뤄진 경험이 있다. 한국은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뽀롱뽀롱 뽀로로’의 시즌1과 시즌2 일부가 2002~2004년 하나로통신(현 에스케이브로드밴드)과 북한의 삼천리총회사의 협업으로 제작됐다. 한국기업이 북한 개발자들에게 소프트웨어 개발용역을 맡기기도 했다. 하나비즈닷컴은 북한의 평양정보센터와 함께 중국 단둥에 2001년 ‘하나프로그램센터’를 설치하고 2010년 5·24 조처 전까지 각종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판매했다.

※ 클릭하면 이미지를 크게 볼수 있습니다.

이런 경협을 해본 적 있는 기업들은 당시 협력을 매우 후하게 평가했다. 하나프로그램센터에서 통신용 프로토콜 등을 개발했던 이상산 핸디소프트 이사회 의장은 “경험 못 해본 사람들은 갸우뚱할 수도 있지만 북쪽 개발자들의 능력이 워낙 뛰어나 굉장히 만족스러운 사업파트너가 됐고, 사업이 중단될 때 아쉬운 마음이 매우 컸다”며 “경협이 재개된다면 당연히 다시 뛰어들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 의장의 말처럼 ‘영재’들을 선발해 어린 시절부터 몰입형으로 정보통신기술을 교육하는 북한의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은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김종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디바이스 적용과 상품화에 대한 개념이 떨어질 뿐, 영재교육 덕분에 기술은 정말 뛰어나다”며 “리눅스·안드로이드 기반 앱이나 임베디드(내장형) 소프트웨어 등은 바로 쓸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2000년대 초반 북한은 머신러닝이나 음성인식 분야 개발을 하고 있었고, 알고리즘 개발 능력도 당시 남한보다 훨씬 뛰어났다. 지금도 특정 분야에서는 한 수 배워야 할 상황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나 음성인식·알고리즘 등은 4차산업 혁명의 핵심기술로 평가되는 사물인터넷이나 인공지능에도 바로 활용이 가능한 분야다.

특히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부터는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2013~2017)을 발표하면서 중요 과제로 ‘첨단기술육성’을 강조한 바 있다. 스마트기기용 운영체제(OS) ‘붉은별’과 이를 탑재한 태블릿피시(PC)를 개발하기도 했고, 최근엔 내부 인트라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나 전자결제(나래카드)도 시작되고 있다. 북한이 통신환경을 비롯한 인프라가 뒤처질 뿐, 남쪽과 교류할 영역은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장 이 분야의 경협이 바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지난해 북한의 핵실험·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이후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등이 그대로 살아있기 때문이다. 이 제재에 따르면, 북한과의 합작사업(조인트벤처)이나 협력체 설립·북한 노동자 고용 등이 모두 불가능하다. 미국산 부품이 하나라도 들어가 있으면 북한내 장비 반입이 불가능한 미국 상무부의 수출관리규정(EAR)도 걸림돌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대북제재가 해제되기 전이라도 공동연구·조사사업, 인도적 차원의 교류를 시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철완 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제재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영역부터 시작해 나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가상현실(VR) 기반의 북한의 문화유산 아카이빙 작업이나 이산가족 화상상봉, 북한 인력에 대한 기술교육, 방송프로그램 공동제작 등이 아이템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제재를 해제할 수 있는 노력이나 예외로 적용받을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종선 선임연구위원은 “제재는 그 자체를 풀어나갈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며 “지금도 중국기업 등이 북한의 개발자들을 활용해 사업을 하고 있는 상황인 점을 감안하면, 우리도 못할 것은 아니라고 판단되고, 고민만 한다면 충분히 방법은 있다”고 강조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