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10.22 17:27
수정 : 2018.10.22 21:53
지난 5월 발표내용 이행
댓글창 운영 여부·정렬방법
기사 제공 언론사 스스로 결정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의 ‘댓글창’ 운영 권한을 각 언론사에 맡기기로 하고 22일 운영에 들어갔다. 이는 지난 5월 ‘드루킹 댓글·공감조작’ 사건에 따라 네이버가 3분기 안에 이행하겠다고 발표했던 내용이다.
네이버는 22일 오후 보도자료를 내어 뉴스서비스 댓글정책 변경 세부사항을 알렸다. 자료를 보면, 언론사들은 정치·사회 등 섹션별 기사의 댓글창을 아예 운영하지 않을 수도 있고, 운영하더라도 댓글 정렬 기준을 최신순·과거순·순공감순·공감비율순으로 기본값을 설정해둘 수 있다. 네이버는 이를 통해 “편집권과 댓글 정책까지 모두 언론사에게 넘기고 네이버는 연결이라는 본연의 가치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댓글 정책을 언론사에 넘기더라도, 댓글 공감수 조작 등에 대한 모니터링은 직접 맡는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 5월 이후 소셜로그인을 통한 접속은 댓글·공감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동일 기사에 대한 등록 가능 댓글수를 제한하는 정책을 펴왔다.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지식정보서포트 리더는 “뉴스 댓글 영역은 해당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와 독자들간의 소통 창구인 점을 감안하여 댓글 허용 여부나 댓글 정렬방식을 해당 언론사가 결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변경한 것”이라며 “기사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이 오가는 공론장으로 댓글 서비스가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 서비스운영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