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21 19:09 수정 : 2005.06.21 19:09

부동산뱅크 조사…“1년뒤 전매 가능해 투기 요인”

올들어 지방의 새 아파트 분양값이 해당 지역 기존 아파트 매맷값의 갑절에 이를 정도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부동산뱅크 조사를 보면, 올해 전라북도 지역에서 분양된 아파트의 평당 분양값은 평균 568만9천원으로 전북의 평균 평당 매맷값인 236만3천원의 2.4배에 이르렀다.

이 지역 아파트 평당 분양값은 2003년 359만6천원, 지난해 506만6천원에 이어 올해 568만9천원으로 해마다 크게 뛰었지만 매맷값은 2003년 218만원, 지난해 229만1천원 등 거의 오르지 않았다.

또 전라남도 지역에서 올해 분양된 아파트의 분양값도 평당 433만5천원으로 평당 매맷값(206만1천원)의 갑절을 넘어섰다. 이 지역의 분양값은 2003년 303만9천원에서 올해 433만5천원으로 크게 뛰었지만 매맷값은 2003년 202만7천원에서 올해는 206만1천원으로 거의 오르지 않았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올해 평당 분양값은 546만8천원으로 매맷값(276만4천원)의 1.97배, 울산시 평당 분양값은 652만5천원으로 평당 매맷값(332만3천원)의 1.96배였다. 이들 지역 역시 기존 아파트 매맷값보다 갑절 가까이 높은 분양가를 기록했다.

그밖에 경상북도는 503만2천원으로 매맷값(255만9천원)의 1.96배, 강원도는 521만4천원으로 매맷값(268만5천원)의 1.94배에 이르는 등 개발호재로 분양이 잘 되고 있는 지역의 평균 분양값은 매맷값의 갑절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전문가는 “브랜드와 첨단 설계를 앞세운 대형업체가 지방 신규 분양 아파트의 고급화, 대형화 바람을 일으키며 기존 낡은 아파트와 가격 차이를 벌리고 있는 상황” 이라면서, “지방의 경우 수도권과 달리 계약일로부터 1년 뒤에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점도 분양값이 뛰고 투기세력이 가세할 수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