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7.19 19:26
수정 : 2005.07.20 10:03
길음뉴타운 입주민 전수조사해보니
원주민 90% 떠나고 개발이익은 외지인에
서울시가 역점을 두고 벌이고 있는 뉴타운 주택 재개발 사업에서 원주민 입주율이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타운 재개발 사업의 개발 이익의 대부분이 원주민보다 외부 투기세력에게 돌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겨레>가 최근 4월에 입주가 시작된 성북구 길음뉴타운 2구역의 조합원 명부를 분석한 결과, 1997년 조합 설립인가 당시 전체 조합원(1233명) 가운데 이곳에 살던 주민(원주민)은 798명이었다. 그러나 2005년 4월 입주가 시작될 무렵에는 82명(10.3%)으로 크게 줄었다. 특히 조합원 자리에서 탈락하는 원주민 대신에 서울 강남 거주자들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서울시가 중점 사업으로 벌이고 있는 뉴타운 구역에서 실수 재정착률 조사가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업인가때 타지인중 29%가 강남주민
그동안 서울시는 통상 재개발 이후 원주민 재정착률이 15~20%가 될 것으로 추정해 왔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주민 재정착률이 예상보다도 크게 낮은 것이 확인됐다. 특히 이번에 조사한 길음2구역은 조합설립 이전의 조합추진위 명부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통상 재개발 구역 지정 이전에 주민 교체가 많이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원주민 재정착률은 10%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보인다.
97년 12월 조합 설립인가 당시 1233명에 이르는 조합원 명부를 살펴보면, 주소지와 사업 대상지가 일치하는 원주민은 798명이었다. 서울의 다른 지역에 둔 조합원은 원주민의 38%에 해당하는 308명(나머지 127명은 지방 거주)이었다. 308명 중 42명(13.6%)은 강남·송파·서초·강동 등 이른바 ‘강남’ 지역의 주민들이었다.
2000년 1월 사업 시행인가 때까지는 원주민 조합원 이탈이 그리 높지 않았다. 전체 조합원 1159명 중 55.5%인 643명이 원주민으로 구성돼 있었다. 길음동 이외의 다른 지역 주민들은 378명으로 조합설립인가 때보다 늘어났으며, 이 중 강남지역 주민들은 28.8%로 97년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바뀜이 가장 많이 나타난 때는 사업시행 인가부터 관리처분계획 인가까지 11개월에 이르는 기간이었다. 조합원들의 토지·주택 평가와 이에 따른 부담금 정산 등을 확정짓는 관리처분계획이 인가된 2001년 11월에는 조합원 1102명 중 본래 주민은 150명으로 뚝 떨어졌다.
이어 마지막 관문인 분양·입주까지 살아남은 조합원은 82명이었다. 결국 길음뉴타운 2구역 조합원 분양 몫 1062가구 중 중 7.7%만이 본래 길음동 주민에게 돌아갔다. 조합설립 때의 원주민 798명을 기준으로 하면 10.3%만이 살아남았다.
길음뉴타운 2구역은 3만8775평에 이르는 규모인데, 전체는 2350가구로서 일반분양분 1006가구와 세입자 임대분 282가구에 조합원 분양 1062가구로 구성돼 있다. 재개발 이전엔 낡은 무허가·임시 주택들이 많았던 곳으로, 95년 8월 주택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됐다.
서울시는 2002년 10월 강북지역 개발을 위해 기존의 재개발구역을 통합해 대규모로 진행하는 뉴타운사업을 발표하면서 길음 2구역을 1차 시범 길음뉴타운 구역에 포함했다.
이런 조사 결과에 대해 성북구청 관계자는 “길음뉴타운의 필지가 잘게 나눠져 있고, 주민들 형편이 어려워 재정착률이 더욱 낮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하정민 오수호 인턴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