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8 14:12 수정 : 2005.08.18 14:13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는 최근 네티즌 1천239명을 상대로 한 `부동산 정책 중 장기적으로 집값 안정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정책'을 묻는 설문에서 51.41%(637명)의 응답자가 `종부세 등 보유세 강화'라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어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를 꼽은 답이 전체의 20.58%(255명)를 차지, 보유세 부담과 함께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강화가 집값 안정화를 이끄는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2.03%인 149명은 `분양가 상한제 및 채권입찰제'를 꼽아 분양가에 대한 간접규제가 시장에 어느정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는 전체 응답자 중 7.1%(88명), `양도세를 실거래가로 과세하는 주택투기지역 지정'은 4.84%(60명)에 그쳐 이 제도들은 정부의 취지와는 달리 실제로 집값 안정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재건축의 일부분을 의무적으로 소형 평형으로 짓도록 한 `재건축 소형평형의무비율'에 대해서는 가장 적은 4.04%(50명)만이 응답해 최근 정책 가운데 가장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스피드뱅크 김은경 팀장은 "설문조사 결과 일반인들은 정부가 내놓은 정책 가운데 세금 강화가 주택 투기 수요 억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