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31 11:44 수정 : 2005.08.31 11:44

부동산 거래 위축될 듯

정부의 새로운 종합부동산 정책 발표로 대구.경북지역은 상당기간 부동산 거래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번 발표도 그 동안 정부가 내놨던 수많은 정책 가운데 하나일 뿐 부동산 가격이 안정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반응도 있었다.

대구 동.북.수성.달서구 지역 등은 최근 수년 동안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으나 주택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뒤 실제 수요자를 제외하고는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거래는 크게 줄어들었으나 투기 심리와 신축 아파트의 분양가 상승 등으로 인해 매매 가격은 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수성구 지역의 아파트는 학군 등 지역적인 특성으로 일부 신축 아파트의 특정 평형 매매가격이 분양가보다 1억원 이상 높기도 했었지만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는 매물도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투기 심리로 분양을 받았던 사람들이 정부의 대책 발표를 앞두고 심리적으로 위축돼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 유력 후보지며 대구 테크노폴리스 조성 예정지인 달성군은 지난해부터 땅값이 오름세를 보여 올해 4월까지 지역에 따라 20-50% 정도까지 땅값이 올랐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가 과열되면서 올초 현풍면과 유가면 등이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지정되면서 거래가 줄어드는 등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북 구미 지역도 올들어 높은 집값 상승률을 보였지만 지난달 주택투기지역 지정에 이은 정부의 부동산 안정대책 발표를 앞두고 오름세가 둔화됐다.

구미시내 아파트의 7월 중 매매가격 상승률은 0.7%로 6월과 5월의 1.7%, 1.2%에 비해 둔화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 구미지역의 7월 중 토지가격 상승률은 0.4%로 경북(0.2%), 대구(0.3%)보다 높았지만 전국 평균 0.5%에는 미치지 못했다.

시민 지모(39.회사원)씨는 "전반적으로 부동산 거품이 서서히 꺼지는 분위기가 느껴진다"며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갖고 마련한 정책인 만큼 집값과 땅값 안정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반면 한 부동산 중개업자(52)는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대책 때문에 투기 우려가 거의 없는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서도 찬바람이 불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경기위축 등 부작용도 잇따를 것 같다"고 내다봤다.

(대구=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