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5.28 20:23 수정 : 2015.05.28 20:23

이종우의 흐름읽기

엔-달러 환율이 120엔대로 진입하고 7개월이 지났다. 기간중 고점은 122엔이었다. 엔화가 좁은 폭 내에 머물다 보니 이를 벗어날 경우 급격한 변동이 올 수 있는 상황이다. 엔-달러 환율이 122엔을 넘어 125엔을 돌파할 경우 새로운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엔화는 지난 20년내 최고치인 140엔대 중반이 돼야 상승이 멈출 것이다.

환율시장이 요동을 치면서 원화 움직임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원화는 지난 3년사이 달러에 대해 약세가 되지 않은 몇 안 되는 통화중 하나다. 달러 유입 등 우리 경제의 강점이 원화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지만, 환율 변동에 따른 경쟁력 약화를 피해갈 순 없다. 생각해 보면 간단하다. 2012년 2월 엔화가 76.1엔으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을 당시 원-달러 환율은 1126원이었다. 엔화가 달러 대비 60% 절하된 지금 원-달러 환율은 1120원 밑에 있다. 우리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일본에 비해 60%나 낮아진 셈인데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힘들다.

엔/달러 환율 추이
자동차 산업이 환율의 영향을 가장 잘 보여준다. 지난 2년 사이 이익이 계속 줄어든 건 물론, 상장 기업의 이익이 늘어난 올 1분기에도 자동차 업종만은 이익 감소를 면치 못했다. 그 사이 일본 자동차 회사들은 사상 최고 이익과 높은 주가 상승을 기록했다. 2009~2010년 사이 국내 업체들이 누렸던 혜택을 이제 반대로 일본 기업들이 누리고 있는 것이다.

환율 변동으로 인한 문제는 세 가지다. 우선 영향이 시간을 두고 나타난다는 점이다. 작년 10~11월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이 올해 1분기 재무제표에 나타났다. 2분기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텐데, 엔화 약세가 심해질 경우 악영향이 증폭될 수 있다.

환율의 영향이 환차손에서 시작해 경쟁력 약화로 발전할 수 있다. 매출 둔화, 수익성 악화 등이 나타날수 있는데, 제품 경쟁력이 약해질 경우 회복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견해가 있겠지만 우리 기업들이 환율 변동에 대응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원-엔 환율이 1500원에서 900원까지 내려오는 동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가시적 노력을 기울인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환율이 견디기 힘든 수준이 된 후에야 대응이 시작되던 과거와 지금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환율은 한 나라의 경쟁력을 바꿀 수 있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수단이다. 그만큼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처음에는 영향이 환율 관련주를 중심으로 투자 종목이 재편되는 형태로 나타나겠지만, 시간을 두고 시장 전체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

이종우 아이비케이(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