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그룹 투자하며 ‘업종 분산’ 이점
전방 기업 업황 좋을 땐 혜택
대체종목 적은 구조적 취약점도
‘지배구조 이슈’에도 민감한 반응
‘경영권 승계’ 삼성 한때 자금유입
‘합병 이벤트’ 끝나자 수익률 뚝
지난 7월 말 불거진 롯데그룹 형제 간 경영권 다툼 때 롯데 상장사 시가총액이 2주 만에 1조7000억원 증발했다. 이른바 ‘오너 리스크’ 탓이었다. 이론적으로는 계열사 주가는 저마다 실적·성장성에 따라 따로 움직여야 하지만, 총수가 그룹 전체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탓에 모든 계열사 주가가 한 방향으로 움직인 것이다. 대부분 대형·우량주로 구성돼 있는데도, 그룹주 펀드가 ‘테마펀드’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롯데는 상장사가 8개뿐이어서, 계열사 주식으로 구성한 그룹주 펀드 상품이 없다. 그룹주 펀드의 대부분은 ‘삼성그룹주’가 차지하고 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 자료를 보면, 19일 현재 운용 중인 그룹주 펀드 42개 가운데 29개가 삼성그룹주 펀드다. 에스케이(SK)·한화·엘지(LG)·현대·현대차그룹주 펀드도 있지만, 순자산 766억원의 ‘현대그룹플러스1’ 펀드를 제외하면 대부분 순자산 50억원이 채 안된다. 하지만 삼성그룹주 펀드는 가장 규모가 큰 ‘한국투자삼성그룹적립식2’의 순자산이 19일 기준 1조803억원에 이른다. 삼성그룹주 펀드 전체 순자산 규모는 3조4458억원대다. 2004년 그룹주 펀드를 처음 내놓은 한국투자신탁운용 백재열 주식운용1팀장은 “구제금융기, 카드버블을 거쳐 살아남은 기업 가운데 오래 투자할 만한 좋은 기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삼성 계열사가 14개나 포함됐다. 삼성 계열사만으로 펀드 구성이 가능하다고 봤다”고 말했다.
한 그룹에 투자하면서도 어느 정도 ‘업종 분산투자’가 되는 것은, 한국 재벌 기업이 주력 사업 관련 업종뿐 아니라 거의 모든 업종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도 2003년 설정된 ‘도요타 그룹주 펀드’가 있지만 이 펀드는 7월말 기준 도요타 자동차에 50% 가까이 투자하는 것을 비롯해, 90% 이상 운송장비 관련 업종에만 투자하고 있다. 반면 한국투자삼성그룹주 펀드는 4월 말 기준 전기·전자 32.69%, 보험 13.82%, 유통업 9.86% 등 다양한 업종에 투자하고 있다.
삼성그룹주 펀드 연도별 수익률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