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1.03 14:46 수정 : 2016.11.03 21:52

2004년 1분기에 상장사 영업이익이 10조에서 16조로 갑자기 늘었다. 2011년 1분기에도 20조에서 35조로 증가했다. 똑같이 이익이 늘었지만 주가는 다르게 움직였다. 2004년은 이익 증가와 함께 주가가 상승한 반면, 2011년은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익 증가율이 75%로 2004년보다 월등히 높았는데도 말이다.

2011년에 주가가 움직이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 이익이 한번 급증한 뒤 다시 정체 상태에 빠졌기 때문이다. 2004년에는 1분기에 이익이 크게 늘어난 뒤 2010년 3분기 27.2조까지 증가 추세가 이어졌다. 금융위기 때 일시적으로 줄어들긴 했지만 사태가 수습된 후에 다시 늘었다. 그 영향으로 종합주가지수가 816에서 2080까지 상승했다. 반면 2011년은 1분기에 영업이익이 35.3조로 늘어난 뒤 2015년까지 정체 상태에 머물렀다. 가끔 30조대를 유지하지 못하는 적도 있었다. 그 영향으로 6년 동안 종합주가지수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두 사례를 통해 특정 시점에 이익이 급증한 게 주가 상승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이후에 이익의 지속적 증가가 뒤따라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16년 2분기에 거래소 상장기업의 영업이익이 41.6조를 기록했다. 2011년 이후 분기 평균 29.9조와 비교해 39.1% 늘어난 것이다. 주식시장 입장에서 이익 증가율이 40%에 달한 건 긍정적인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이익 증가가 특정 요인에 의한 일회성 이벤트 때문이 아니어서 더더욱 그렇다. 문제는 향후 움직임인데 40조가 이익의 정점이거나, 앞으로 40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 경우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약해질 것이다.

이종우 아이비케이(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3분기 실적 발표가 끝난 150개 거래소 기업의 영업이익이 19.8조로 2분기에 비해 6.9% 줄었다. 일회성 손실로 이익이 대폭 줄어든 삼성전자를 뺀 결과다. 매출도 좋지 않았다. 247조에서 237조로 10조 가까이 줄었다. 향후 전망도 만만치 않다. 이익 증가 요인을 최대한 늘려도 비용 구조 개선과 순환적인 경기 회복 말고는 없는 것 같은데, 비용 구조 개선은 상반기 이익 증가를 통해 주가에 어느 정도 반영됐다. 경기 회복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성장률이 2%대 초중반을 벗어나지 못할 걸로 전망돼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

상반기 실적이 발표될 때만 해도 이익 증가가 대단히 커 박스권 돌파가 가능할 거란 의견이 많았다. 그 후 석 달간 주가는 일진일퇴의 공방만을 벌이고 있는데 하반기 이후 이익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한계를 넘기 위해서는 이익 증가에 대해 보다 확고한 모습이 나타나야 한다. 지금까지 나온 수치로 볼 때 3분기 실적에서 그 해답을 찾기는 힘들 것 같다.

이종우 아이비케이(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Weconomy] 이종우의 흐름읽기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