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0.06 17:45 수정 : 2019.10.06 20:56

지난해 1월 사우디아라비아 여성들이 리야드에 있는 킹파드 경기장에서 축구 경기를 관람하고 있다. 이전까지 여성의 경기장 출입을 금지해온 사우디는 지난해부터 남성 좌석과 분리된 ‘가족석’에서 여성의 스포츠 경기 관람을 허용했다. 리야드/EPA 연합뉴스

외국인은 가족증명 안 해도 호텔 혼숙
여성 단독 숙박은 내외국인 모두 가능

외국인 관광·투자 늘리고 이미지 개선
외국인 유입 급증에 보수층 반발 우려도

지난해 1월 사우디아라비아 여성들이 리야드에 있는 킹파드 경기장에서 축구 경기를 관람하고 있다. 이전까지 여성의 경기장 출입을 금지해온 사우디는 지난해부터 남성 좌석과 분리된 ‘가족석’에서 여성의 스포츠 경기 관람을 허용했다. 리야드/EPA 연합뉴스
앞으론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남녀 커플이 부부가 아니더라도 호텔에 투숙할 수 있게 됐다. 단, 외국인에 한해서다. 또 여성이 남성 후견인을 동반하지 않은 채 혼자 호텔에 투숙하는 것도 가능하게 됐다. 이는 내외국인 모두에게 적용된다.

사우디 정부는 5일 “모든 사우디 국민은 (남녀 투숙을 위해) 호텔 체크인 때 가족증명서를 제시해야 하지만 이는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며, 사우디 국민을 포함한 모든 여성은 신분증만 제시하면 혼자도 호텔 예약과 숙박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또 외국인 여성 관광객들은 몸 전체를 가리는 히잡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신체의 노출이 과도하지 않은 단정한 복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다만 음주는 여전히 엄격히 금지된다.

사우디의 관광·문화유산위원회가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비자 규정 개정법을 발표한 것은 이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완고하고 종교적 금기가 심한 나라라는 이미지를 완화하고 더 많은 외국인 관광객과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사우디는 2017년 무함마드 빈 살만(34) 왕세자가 실세로 등극하면서 적극적인 개혁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나라 안팎의 시위와 비판에도 꿈쩍 않던 여성 운전을 허용했고, 지난 8월엔 여성이 남성 후견인 없이도 여권 신청과 외국여행, 혼인·이혼·출생신고 등을 직접 할 수 있게 됐다.

사우디 정부는 2030년까지 연간 관광객 1억명을 유치한다는 목표 아래 비자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그러나 <로이터> 통신은 “외국인 관광객의 급속한 유입이 사우디의 경계 범위를 넓히고 보수층의 반발을 부를 위험도 있다”고 짚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