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6.10 17:08 수정 : 2018.06.10 21:24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가 열린 10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 행사장에서 회원국 정상들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칭다오/EPA 연합뉴스

상하이협력기구 8개국 트럼프 ‘반대’ 확인
‘이란핵협정 탈퇴’ ‘보호무역주의’ 등 이유로
중-러 주도의 경제협력으로 ‘번영’ 약속하기도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가 열린 10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 행사장에서 회원국 정상들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칭다오/EPA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개최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히며 기대감을 표출했다. 그러나 중-러가 주도하는 안보·경제 협력체 상하이협력기구(SCO)가 일방적 무역정책, 이란 핵협상 탈퇴 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대한 비판으로 뚜렷한 ‘공동 전선’을 형성했다.

푸틴 대통령은 10일 중국 칭다오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에서 “우리는 평양과 서울, 워싱턴이 대화를 통해 위기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기에 이른 의도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지난달 말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면담하는 등 북-러 관계 복원에 나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또 ‘러시아 스캔들’로 곤욕을 겪는 트럼프 대통령을 자신이 만날 가능성에 대해서도, “미국이 준비가 되는대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미국의 이란 핵협정 탈퇴를 강하게 비판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와의 대립각을 선명하게 세웠다. 그는 “미국의 이란 핵 협정 탈퇴 결정이 지역의 상황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비판하고, 러시아는 협정의 의무를 계속 준수하겠다고 밝혔다. 옵서버 자격으로 참석한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미국이 자국의 정책을 다른 나라들에까지 지우면서 위험을 확대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상하이협력기구는 미-중 무역전쟁 국면과 관련해서도 ‘반트럼프’ 노선을 분명히 했다. 8개 회원국 정상들은 모두 ‘칭다오 선언’과 ‘무역 편리화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를 겨냥한 강한 반대 입장이 뼈대다. 올해 순번제 의장국인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일방주의, 무역보호주의, 반세계화 등이 새로운 형태로 끊이지않고 나타난다”며 “우리는 규칙을 기초로 하는 다자 무역체제를 공고히 하고, 어떤 형식의 무역보호주의에도 반대한다는데 일치했다”고 말했다.

중-러가 대트럼프 ‘공동 전선’을 주도하면서 각각 회원국들의 번영을 약속하는 점도 눈길을 끈다. 시 주석은 300억위안(약 5조원) 규모의 회원국 금융기관 간 대출 시설을 개설하겠다고 약속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원국 간 거래와 투자가 늘고 있다면서, 러-중이 회원국들에게 ‘유라시아 경제 파트너십’을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하이협력기구가 이처럼 끈끈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9일부터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나머지 6개국 정상들의 ‘보호주의 반대’ 공동성명 발표에 반발하는 등 삐걱대는 것과 대조적이다.

2001년 중-러 주도로 출범한 상하이협력기구는 ‘유라시아판 나토’로도 불리며, 우즈베키스탄, 인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등 8개국이 회원국이다. 몽골, 벨라루스, 아프가니스칸 등은 옵서버 국가로 참가한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회원국이 된 인도와 파키스탄의 정상이 참석한 첫 회의였다. 인-파 정상회담 가능성이 주목을 받았지만, 양국이 급이 맞지않은 총리와 대통령을 보내면서 불발됐다. 인도는 트럼프 행정부가 강조하는 지역 개념인 ‘인도·태평양’의 주요한 축인 탓에, 중-러와 안보 협의체를 함께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심장하다.

정상회의 차원에서 이틀 뒤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이나 한반도 문제가 논의됐는지는 불투명하다. 회원국 정상들은 10여건의 안보, 경제, 인문 등 협력문건에 서명하고, 테러·분열·극단주의 등의 척결과 마약 퇴치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문건을 채택했다.

칭다오/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