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8.26 17:51 수정 : 2018.08.26 21:59

2017년 11월 중국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청중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트럼프의 ‘중국이 북핵 문제 비협조’ 주장에 반박
시진핑 9·9절 방북설과도 연계돼 중국 대응 주목

2017년 11월 중국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청중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 계획을 취소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책임론’을 제기하자, 중국은 “무책임하다”며 반발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5일 누리집에 올린 자료를 통해 “미국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무책임하다. 우리는 엄중히 우려하며 미국에 항의했다”고 밝혔다. 또 “관련 각국은 정치적 해결 방향을 견지하고 적극 접촉·회담하면서 서로의 합리적 우려를 돌보고 더 많은 성의와 융통성을 보여야 한다. 변덕을 부리거나 남 핑계를 대선 안 된다”고 밝혔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 발언의 진의와 그 배경 파악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무역 문제에서 강경한 입장을 보이자 중국이 예전만큼 북핵에 관해 미국을 돕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중국과의 무역 문제가 해결된 뒤에야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무역과 북핵을 결부시켜 중국에 공을 떠넘긴 셈이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대북 제재에 구멍이 생겼다고 질책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하지만 일부 밀수를 제외하면 중국 당국은 제재를 엄격히 집행하고 있다는 관측이 많다. 다만 한반도 정세 변화로 최근 중국에서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한 기대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3월 북-중 정상회담 이래 접경 지역인 랴오닝성 단둥이나 훈춘 등에서 부동산 가격 급등 현상이 나타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북한과의 인적 왕래도 대폭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태도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가능성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최근 싱가포르와 일본의 일부 매체들은 시 주석이 9월9일 북한 정부 수립 70돌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방북을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견제 의도가 분명해지면서 시 주석의 방북 가능성은 낮아졌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미 관계의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북한과 지나치게 접근하는 것으로 비치면 부담스럽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한 전문가는 “만약 이미 가기로 정해졌다면, 지금 와서 안 간다고 하는 게 더 이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시 주석의 방북 여부에 대해 아무런 발표를 하지 않고 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