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지난달 26일 남아시아 일대를 강타한 지진해일에 휩쓸려 해안에서 160㎞ 떨어진 인도양을 표류하다 9일 만인 지난 3일 지나가던 화물선에 구조된 인도네시아 반다아체 주민 리잘 샤푸트라가 5일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 인근 클랑 항구에 무사히 도착한 뒤 병원으로 옮겨지기 전 잠시 대기하고 있다. 클랑/로이터 연합 국제사회 이례적 복구협력…독일 “6억달러 지원”
오늘 긴급정상회의…자국이기주의·불신 걸림돌
“남아시아 지진해일 재난이 세계적 빈곤문제를 다루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까?”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4일 사상 최대의 피해를 몰고 온 남아시아 지진해일 사태 뒤 펼쳐지고 있는 세계 여러 나라와 민간의 경쟁적인 구호지원 활동이 한발 더 나아가 빈곤 등 전지구적 문제들에 관한 국제사회의 인식 및 구조전환에 이를 수 있을지 물었다. 팀 스티븐스 영국 레스터시 주교는 이런 문제제기에 대해 “희망적”이라면서도 “자선기부뿐 아니라 서방과 빈국 사이의 경제적 관계처럼 근본적 주제들을 다룰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영국내 이슬람 정치조직인 ‘이슬람 의회’ 지도자 가야수딘 시딘키는 “이번 비극은 모든 인류가 서로를 돕기 위해 화합해야 한다는 공식을 보여 준 것”이라며 “한걸음씩 나아지고 있다”고 답했다. 6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는 이번 지진해일 참사 구호를 위한 세계 주요국과 유엔 등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하는 긴급 정상회의가 열린다.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주도로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이해찬 총리,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 원자바오 중국 총리,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등 각국·기구 지도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자연재해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아시아 각국과 세계 주요국 지도자들이 이처럼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일찍이 없었던 일이다. 이번 회의에선 희생자 주검 발굴과 이재민 구호, 재해방지 시스템 구축 등을 논의하며, 유엔 주도의 ‘재해복구특별기금’(가칭) 설립도 검토한다. 또 다양한 복구·방재책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할 예정이다.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가 내놓기로 약속한 복구 지원금은 5일 현재 약 30억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다. 독일 정부는 5일 피해국에 대한 원조 금액을 5억유로(6억6천800만 달러)로 늘려 세계 최대 지원국이 될 것이며, 이날 특별 각료회의에서 이 계획을 승인할 것이라고 정부 소식통이 밝혔다. 이런 움직임은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 악화한 국제사회의 대립을 완화시키고, 전쟁·빈곤·환경오염 등 공통의 과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대를 걸기에는 국제정치 현실에 대한 불신이 너무 깊다. ‘쓰나미(지진해일) 외교’라는 말이 보여주듯 이번 지진해일 참사를 계기로 한 주요국들의 최근 움직임은 자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 의도 및 경제적 이해관계와도 긴밀히 맞물려 있다. 이라크 침공 등 일방주의 외교로 일관해 국제사회의 분열을 몰고온 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는 적극적인 복구 지원을 통해 유럽·이슬람권과의 관계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일본의 발빠른 행보는 동아시아 공동체와 아시아 자유무역지대 창설 등을 앞두고 경쟁국 중국을 강하게 의식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이 5일 원자바오 총리의 원래 일정을 취소하고 그를 자카르타로 보내기로 한 것도 이런 속셈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남아시아 지진해일의 복구는 국제사회의 위기 대처 능력과 협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해보는 시험대가 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5일 사설을 통해 이라크 문제로 갈라진 국제사회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유엔 중심으로 협력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아시아가 아시아를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일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고 물었다. 우리는 이런 과제에 대해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도쿄/박중언 특파원 윤진 기자 parkj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