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0.12 16:39 수정 : 2006.10.12 17:55

〈에이피(AP)〉통신이 입수

(유엔본부 AP=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제재 결의를 추진중인 가운데 미국이 11일 당초 결의안을 수정, 안보리 이사국들에게 회람시켰다.

AP통신이 입수한 이 수정 결의안에는 북한의 미사일ㆍ무기 계획 지원자에 대한 여행금지 조항이 추가됐으나 금융제재, 화물검사 조항의 어조는 오히려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이 요구한 ▲북한 선박 입항 금지 ▲북한 항공기 이착륙 금지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내용의 수정안은 강경한 제재결의안에 난색을 표시해온 러시아와 중국으로부터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은 유엔 안보리의 경고를 무시하고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하는 북한을 징계하기 위해 13일 중 새로운 안보리 결의안이 통과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존 볼턴 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말했다.

수정안은 지난 9일 안보리에 제출됐던 결의안 초안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하고, 북한이 전제조건 없이 6자회담에 복귀하도록 요구하는 동시에 북한이 안보리의 요구를 "악의적으로 무시한데" 제재를 가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수정안은 북한이 "더 이상의 추가 핵실험을 실시하거나,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지 말도록" 요구하는 문구가 새로 포함됐다.

나아가 (북한의 핵실험 주장을) 우려하는 모든 국가에게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및 동아시아에서의 평화.안정의 유지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갖고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 외교노력을 강화하도록" 독려하는 내용도 들어 있다.

수정안은 북한의 현 상황, 특히 북한이 주장하는 핵실험이 "국제 평화ㆍ안정에 명백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규탄하고 있다.


이 수정안은 초안과 마찬가지로 국제평화의 위협과 분쟁에 대한 대응책으로 외교관계 단절, 해상봉쇄는 물론 군사행동까지 규정한 유엔헌장 제7장에 근거하고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