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0.31 15:06 수정 : 2006.10.31 15:06

월스트리트저널, “울포위츠 총재가 이라크 재건도구로 만들어”

폴 울포위츠 세계은행 총재가 세계은행을 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의 이라크 재건정책을 대행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1일 세계은행이 일반적으로 전쟁이 종식되거나 분쟁이 통제된 상태의 국가들에 대해서만 자금과 인력을 지원하는데도 울포위츠 총재가 현재 요르단에 있는 세계은행 사무소를 저항세력의 공격이 계속되고 있는 이라크의 바그다드로 이전하려 하는 등 이라크에만 과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개발도상국 지원을 부패문제와 강하게 연계하려는 울포위츠 총재가 세계은행을 부시 행정부의 이라크 재건도구로 활용하면서 세계은행의 독립성이 훼손될 위기에 처했으며 다른 국가들에 대한 지원도 경시하고 있다는 것.

은행정보센터(BIC)의 마니시 뱁나 전무이사는 "부시 행정부와 울포위츠의 강한 연계는 매우 문제"라고 말했으며 세계은행 이사인 프랑스의 피에르 뒤케인도 세계은행이 이라크만이 아니라 코트디부아르와 같은 국가들에 대한 지원에도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울포위츠가 세계은행 총재로 지명되면서 미국이 국방부 부장관으로 재임하는 4년 동안 이라크 전쟁을 기획한 핵심 인사 중 한 명으로 잘 알려진 그를 내세워 부시 대통령이 밝힌 안보 구축 및 민주주의 확산 사업에 세계은행을 이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었다.

이 우려는 취임 초부터 현실화돼 로빈 클리블랜드를 비롯한 미 행정부 출신 인사 등으로 보좌관들을 구성한 울포위츠 총재는 세계은행 이사들과 사사건건 충돌하기 시작했다.

부패를 중요 의제로 설정한 부시 행정부처럼 부패가 빈곤퇴치 노력을 저해한다고 주장하는 그는 캄보디아에 대한 일상적인 지원문제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부패문제를 집중 거론했으며 그후에도 정부의 부패의혹을 이유로 방글라데시와 인도, 케냐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거나 취소 또는 연기하도록 지시했었다.

그는 또 부채탕감 프로그램에 콩고민주공화국이 참여하는데 엄격한 조건을 제시하기도 했는데 프랑스와 영국 등은 울포위츠 총재가 부채탕감 요건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민주콩고를 부당하게 처벌하려 한다며 반발했었다.

류창석 기자 kerberos@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