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12.01 19:43 수정 : 2015.12.01 21:37

30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외곽 르부르제에서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개막한 가운데, ‘청정에너지 혁명’ 세션에 참석한 쥐스탱 트뤼도(왼쪽부터) 캐나다 총리,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나란히 서서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르부르제/AP 연합뉴스

“국제회의에 쏠린 관심이 이번(기후변화 총회)처럼 높은 전례가 없습니다. 지구의 미래, 우리 삶의 미래가 걸려 있기 때문입니다.”

30일 프랑스 파리 외곽의 회의장에서 시작된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 이하 기후총회)의 개막연설에서,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이번 회의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도 “우리 모두의 인간다운 삶이 여러분의 어깨 위에 놓였다”며 회의의 성공적 합의를 다짐했다.

미국 오바마

“개도국 곧바로 청정기술 단계로 가야”

중국 시진핑

“차등 책임…각국의 능력 따른 대책을”

인도 모디

“태양에너지 국제동맹 출범” 깜짝 선언

교황

“세계는 자살하기 직전…지금 나서야”

첫날 공식 일정은 오전 11시 개막 행사에 참석한 147개국 정상들의 기조연설로 채워졌다. 1인당 3분씩만 주어졌음에도 참가국이 워낙 많은 까닭에 기조연설 일정만 8시간을 훌쩍 넘겼다고 <에이피>(AP) 통신은 전했다. 특히,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4분을 소비하며 “미래는 바로 지금 여기서 우리가 변화시킬 힘에 달렸다”고 역설했다. 세계 정상들은 기조연설에서 기후변화 대응이 인류 모두의 시급한 과제라는 점에는 인식을 공유했다.

그러나 선진국과 신흥개발국들은 기후변화의 책임과 대응책의 방점을 두고 미묘한 견해차를 드러냈고, 저마다 다양한 제안들도 쏟아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기후 문제를 야기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한 일이 있다는 점과 그에 대처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며 미국의 ‘책임’을 인정했다. 그러나 오바마는 동시에 “(개도국들도) ‘개발의 추악한 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청정기술 단계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처를 돕기 위해 유엔에 30억달러의 분담금을 내는 방안은 현재 의회의 벽에 가로막혀 있다.

온실가스 배출국 1위인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기후변화에 대한 제로섬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공통적이지만 차등적인 책임’의 원칙에 따라 각국의 능력에 따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선진국이 개도국과 빈곤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20년까지 매년 1000억달러의 기후기금 조성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고, 친환경 기술도 더 적극적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 미국, 유럽연합과 함께 온실가스 4대 배출국(지역)인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기자회견을 열어, 세계 120여개국이 참여하는 ‘태양에너지 국제동맹’의 출범을 선언했다. 모디 총리는 “태양에너지 기술이 발달하고, 비용이 낮아지고, 전력망이 개선되고 있다”며 “청정에너지의 보편적 접근이 신세기 신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의 깜짝 발표는 단숨에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어모았다. 유럽 태양광 산업계의 대표로 참석한 제임스 왓슨 솔라파워유럽 사무총장은 “인도가 태양에너지에 대한 자국의 태도를 분명히 하고 리더십을 보이는 것은 대단히 흥미롭다”고 반겼다.

프랑스·독일·칠레·멕시코·에티오피아·캐나다 등 6개국과 세계은행은 모든 나라에 이산화탄소 배출 비용을 매기자고 촉구했다. 비용 부과 방식으로는 1톤 배출당 일정액, 또는 탄소배출권 거래를 들었다.

한편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날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성과를 이룬 것이 거의 없다. 해를 거듭할수록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며 “심하게 말하면 세계는 자살하기 직전의 경계에 서 있다”고 말했다. 또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기 위한 합의는 지금이 아니면 영원히 안 될 것”이라며 “참가국들이 자국의 이해관계 때문에 합의를 그르치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