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12.11 19:32 수정 : 2015.12.11 21:51

“동시에 1.5도로 제한 노력”도 합의
해수면 위협 국가들 ‘상징적 승리’
선진국·신흥국간 책임 싸고 논란
다른 쟁점들 합의 못해 하루 연장

프랑스 파리에서 지난달 30일부터 열리고 있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의 폐막을 하루 앞두고 지구의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전에 견줘 “2도보다 훨씬 아래로” 제한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폐막일인 11일까지 나머지 쟁점들에 합의하지 못해 회의를 하루 연장하기로 했다.

총회 의장인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11일 “(합의 도출에) 거의 다 왔다. 나는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파비위스 장관이 12일 오전 9시 참가국들에 제출할 안이 채택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전했다. 프랑스는 10일 전날보다 2쪽 줄어든 27쪽짜리 초안을 새로 제시했다.

외신들의 보도를 종합하면, 초안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새 기후변화 체제의 장기 목표로 지구 평균온도의 산업화 이전 대비 상승폭을 “2도보다 훨씬 아래에” 묶어두도록 제한하며, 동시에 “상승폭을 1.5도로 제한하도록 노력을 추구한다”고 제시했다. 지구의 온도는 이미 산업화 이전보다 1도 오른 상태이며, 현 추세대로라면 금세기말에 3.7도 이상 올라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앞서 회의에서는 이 상승폭을 2도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는 목표를 두고 논의가 진행돼왔다. 하지만 해수면 상승 위협에 처한 몰디브 등 군소 도서국가들은 ‘1.5도 이하’로 이 목표치를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지구 온도가 2도 높아질 땐 이들 나라가 침수된다는 논리였다. 최종 합의는 나오지 않았지만 <가디언>은 1.5도 목표가 일부 인정됨으로써 군소 도서국가들이 “중요한 상징적 승리”를 거뒀다고 분석했다. 마셜제도 외무장관 토니 데브룸도 “돌아가 시민들에게 우리가 생존할 기회를 잃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만족감을 표시했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관련해 초안은 각국 정부가 “가능한 한 빨리” 정점을 찍고 21세기 후반까지 “탄소중립”에 이를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탄소중립이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가장 큰 쟁점 중 하나인 선진국과 중국·인도 등 신흥국들 간의 기후변화 책임을 둘러싼 논란이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초안에는 양쪽에 다른 기준을 적용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으나 선진국에서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신흥국들의 탄소 배출을 제한하는 대신 선진국이 재정 지원을 하는 문제도 합의되지 못했다. 다만 일반적인 기후변화 재원 부담과 관련해서는 선진국들이 최저 연간 1000억달러 이상을 투입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영토 손실과 이주 문제 등 취약국들의 보이지 않는 피해에 대한 지원책도 논의를 마무리 짓지 못했다. 서방 국가들은 중국과 중동 산유국 등 발전한 신흥국들이 지원에 동참해야 한다는 태도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