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1.18 16:58 수정 : 2019.11.19 02:43

2011년 방사성물질 누출 사고가 일어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 안에 있는 원자로 건물 외부가 총탄을 맞은 것처럼 곳곳이 패어 있는 모습. 2017년 촬영. 후쿠시마공동취재단

도쿄신문-돗쿄의과대 교수 15곳 공동조사
태풍 ‘하기비스’로 산속 오염토 내려온 듯

일본 “처리수 방류해도 영향 적어” 주장

2011년 방사성물질 누출 사고가 일어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 안에 있는 원자로 건물 외부가 총탄을 맞은 것처럼 곳곳이 패어 있는 모습. 2017년 촬영. 후쿠시마공동취재단

지난달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일본 후쿠시마 산림지역의 비교적 고농도 방사성 오염토가 도로나 주변 하천으로 유출된 사실이 확인돼 오염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도쿄신문>은 기무라 신조 돗쿄의과대학 준교수(방사선위생학)와 공동으로 지난달 24~29일 후쿠시마현 내 미나미소마시, 이와키시, 니혼마쓰시, 모토미야시 지역 15곳에서 토사를 채취해 조사한 결과 방사성물질인 세슘이 1㎏당 최대 5063베크렐(Bq·방사성물질이 1초에 한번의 붕괴를 하는 양을 나타내는 단위) 검출됐다고 18일 보도했다. 하기비스가 일본을 관통했을 때 후쿠시마현 산림지대에 쌓여 있던 방사성 오염 토사가 주택가나 도로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가장 고농도 오염토가 나온 곳은 미나미소마시 오다카구 도로로, 산에서 쏟아져 나온 흙을 검사했는데 5063베크렐을 기록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정한 방사성 폐기물 허용 기준치인 8000베크렐보다는 낮다. 하지만 원전 사고 이전의 허용 기준치는 100베크렐로, 일본 정부가 사고 뒤 주민들의 조속 귀환 설득 등을 위해 무려 80배나 기준치를 무리하게 끌어올려 비난받은 점을 고려하면 비교적 고농도로 분류할 수 있다. 실제 오다카구는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 피해로 피난 지시가 내려졌던 곳이다. 이곳은 2016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귀환 곤란 지역’에서 해제됐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현 오염지역에서 흙과 낙엽 등을 걷어내는 방식으로 제염을 해왔으며, 제염 뒤 지역민의 귀환을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제염은 역과 주거지, 농토 등 사람이 주로 왕래하는 곳 위주로 이루어지며, 산 안쪽은 오염 제거 작업이 안 된 곳이 허다하다. 오다카구에서 가장 고농도 오염토가 검출된 배경에는 이런 사정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오다카구 주민 시라히게는 신문에 자신이 측정했던 오염치에 대해 “산속은 원래 오염이 심각해 1만베크렐도 놀랍지 않았다. 오염된 토사가 대량으로 생활권으로 흘러들어 오염이 확산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후쿠시마현 방사선감시실은 이 신문에 “산속 깊은 곳까지는 제염하지 않았다. 고농도 토사 유출이 걱정된다”고 밝혔다.

이밖에 니혼마쓰시 주택가 정원 앞에 쌓인 흙에서는 1470베크렐, 주차장 분진에서는 753베크렐이 검출됐다. 미나미소마시 하라마치구 중 하천 하류 지역에서도 819베크렐이 검출됐다.

한편, 일본 경제산업성은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보관 중인 이른바 ‘처리수’를 1년간 전량 해양과 대기에 방출해도 이로 인한 영향은 적다는 보고서를 18일 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장치’라는 방사성물질 제거 장치로 삼중수소를 제외한 방사성물질을 제거한 오염수를 ‘처리수’라고 일컫는다. 경산성은 이날 후쿠시마 제1원전 ‘처리수’ 폐기 방식을 논의하는 일본 정부 소위원회에서 처리수를 1년간 전량 해양과 대기에 방출할 경우 추가 발생하는 연간 피폭 방사선량이 일반인의 일상생활 피폭량(2100마이크로시버트)의 1600분의 1에서 4만분의 1 수준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바다 방류 쪽으로 점점 움직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