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02 16:32 수정 : 2005.03.02 16:32

반론-‘방송 중간광고 허용돼야’를 읽고

우리나라 방송은 전문성 확보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정책적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다른 나라가 중간광고를 허용하니까 우리도 허용하자는 건 이를 무시한 것이다. 게다가 중간광고의 값은 일반광고보다 비쌀 터이라,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에게 중간광고는 오르지 못할 나무가 될 것이다.

방송은 공공의 재산인 전파를 이용한다. 따라서 전파의 주인은 국민이기 때문에 방송 역시 공익적, 문화적 매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한국광고단체연합회 김동현 전무가 지난 2월15일치 <한겨레> 22면에 실린 ‘방송 중간광고 허용돼야’라는 글에서 지적한 대로 세상에 공짜란 없다. 좋은 방송 콘텐츠를 하나 만들려면 엄청난 돈이 들어가는데, 우리가 내는 돈이라고는 한 달에 2500원이 전부다. 하지만 그 대신 우리는 이미 엄청난 양의 광고를 봐야 하지 않는가?

김 전무는 방송에서 광고를 모두 몰아내면 우리는 25만원의 수신료를 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언제 광고를 전혀 보지 말고 다 몰아내자고 한 적이 있는가? 그런 극단적인 예를 들어, 자기 주장을 합리화하는 것을 이해할 수가 없다. 또한 방송광고 가격의 규제가 없어지면 경쟁력 있는 신문은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서울대의 연구보고를 예로 들었는데, 그것이 대체 언제 나온 결과물인지 모르겠다. 설사 그렇게 되더라도 경쟁력 있는 신문이란 우리나라에서 조선·중앙·동아일보밖에 더 있는가?

기업은 광고를 통해 수익 창출의 극대화를 모색한다. 그래서 그 최선의 방안이 상표 이미지 제고와 상품매출 신장에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에게 중간광고는 큰 매력을 지닌 것임이 분명하고 또 이것이 큰 광고효과를 줄 것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것은 국내 굴지의 대기업만의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중간광고의 단가는 일반광고보다 훨씬 비쌀 터인데다 중간광고 시장을 잡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그 영향은 고스란히 소비자 부담 증가로 돌아갈 것이고, 또한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에게 중간광고는 오르지 못할 나무나 지붕만 쳐다보는 격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방송은 태생적으로 채널의 전문성 확보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제도적, 정책적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다른 나라가 허용하니까 우리도 허용하자고 주장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방송정책 및 환경을 무시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방송의 디지털화로 인해 산업적 측면도 중요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방송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데 힘써야 한다. 이것의 선행조건이 광고에 있다고 하지만 지금 한류 열풍에 힘있은 우리 방송 콘텐츠의 국외 수출로 방송사에서 거둬들이는 수익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김민재/계명대 신문방송학과 4학년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