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04 21:23 수정 : 2005.01.04 21:23

중2 아들아이가 있다. 만 8년 공교육을 받는 동안, 아이가 가진 단점은 더 커지고 장점은 갈수록 사그라지는 모습을 가슴 아프게 지켜보았다. 고민 끝에 내년에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대안학교에 입학하고자 수속을 밟는 중이다.

의무교육이 9년인 현행법상 중학교까진 대안학교를 인정하는 법령이 없어서, 아이는 출석부상에 유령 학생으로 남아있고, 학교에선 90일간 사고결석 처리를 해야만 한다. 정기고사를 칠 땐 칠판에 ‘사고결 OO번 OOO’로 기록되기도 한다. 90일이 지나도 이른바 ‘정원 외 관리’ 학생으로 남아 있다. 대안학교가 학력 인정이 되지 않은 탓에 학부모와 학교 모두 찜찜하고 번거로운 형식을 취해야만 하는 것이다.

안병영 교육부총리가 대안학교를 지원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초·중 대안학교가 학력 인정이 되지 않는 현행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했다. 그가 이메일로 보낸 ‘대안학교 이야기’엔 우리나라 교육의 미래를 염려하는 진솔한 마음이 길고 진하게 담겨 있었다. 현재 대안학교에 아이를 보내고 있거나, 그럴 의향이 있는 학부모에겐 반가운 소식이다.

그런데도 아직 일선 교육 공무원들은 대안교육을 ‘공교육의 적’으로 경계하는 근시안적 사고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열악한 재정 형편에 학교 교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임대한 폐교를 개축해 사용하려는 대안학교에 대해 해당 교육청에서 계약위반이라며 딴죽을 걸기도 한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대안학교의 가장 큰 어려움은 재정 부문이다. 100명도 채 안되는 아이들을 교육하기 위해 많은 돈이 드는 건 기정사실임에도, 학교 육성 기금에 해당하는 속칭 ‘기여금’에 대해 마치 부정한 뇌물인 양 보도하기도 한다. 참된 교육에 대한 목마름과 현재의 ‘교육에 대한 대안’을 갈망하는 이들이 모여 십시일반으로 주머닛돈 모아 학교를 세우고자 하는 의지가 포함된 대안학교도 있음을 간과한 채 말이다.

공교육 구조에 적응하지 못하고 일탈한 학생은 해마다 수천명이 된다고 한다. 공교육 자체 안에서 올바른 교육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그 방향으로 물꼬를 트는 것이 거대 조직으로서 현실적으로 힘들다면, 공교육 밖의 다양한 움직임에 한번 귀를 기울여 보는 것은 어떨까? 대안교육을 진정한 교육의 파트너로 받아들일 때 우리나라는 교육에 대한 모든 국민의 뜨거운 관심과 열망에 걸맞는 교육대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박영숙/대구 북구 관음동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