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1.01 17:16 수정 : 2019.01.01 19:33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1일 청와대에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오찬장에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1일 청와대에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오찬장에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지난 31일 청와대에서 오찬을 함께 하며 당·청 협력을 다짐했다. 오찬에 앞서 문 대통령은 이해찬 민주당 대표와 별도로 배석자 없이 독대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7일에는 민주당 출신 전·현직 국회의장들을 만난 바 있다. 문 대통령과 여당 중진들의 잇단 만남이 당·정·청 협력을 다지는 동시에 야당 등과도 ‘전방위 소통’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문 대통령이 이 대표와 독대한 건 지난 8월 말 이 대표가 취임한 뒤 공식적으로는 처음이라고 한다. 두 사람은 그동안 몇몇 행사에서 다른 참석자들과 함께 만났을 뿐이다. 이 대표 취임 이후 정기국회가 곧바로 시작됐고, 문 대통령도 국외순방 일정이 빠듯했다고는 하지만 정부·여당의 두 수뇌가 4개월 동안 격의 없이 대화할 기회가 없었다는 건 자연스럽지 못하다. 만남이 독대 형식이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두 사람이 원활히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문 대통령은 민주당 지도부와 한 오찬 자리에서 “당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국민들이 느낄 수 있도록 대통령인 저부터 국민들 앞에 더욱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당·정·청 협력을 바탕으로 문 대통령부터 대국민 소통에 앞장서겠다는 말이다. 집권 3년 차를 맞아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정부·여당 내의 협력과 단합이다. 내부 단합을 이뤄내지 못하면 어려움을 극복하기 어렵다. 문 대통령은 당·정·청 소통이 원활하도록 솔선수범해야 한다.

문 대통령이 국민과의 소통을 크게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도 바람직하다. 다만, 소통 방식은 차분히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런저런 행사 중심의 이벤트식 소통보다는 국민 눈높이에 맞춰 다가가는 방식을 고민했으면 한다. 문 대통령이 연말을 맞아 여당 인사들과 잇달아 모임을 한 만큼 새해에는 야당 인사들과 다양하게 소통하는 모습도 보여주길 기대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