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2.06 17:55 수정 : 2019.02.06 19:0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트럼프 국정연설서 ‘날짜 공개’ 눈길
‘영변 핵’ 맞바꿀 미국 ‘상응조처’ 주목
비건 방북서 ‘제재 완화’ 타협점 찾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린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각) 밝혔다. 지난해 6월12일 싱가포르에서의 1차 정상회담에 이어 260일 만에 열리는 2차 회담에 쏠리는 관심은 각별하다. 역사적인 베트남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와 북-미 관계 정상화의 뚜렷한 이정표를 세우길 기대한다.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이 북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포괄적이고 원칙적인 합의에 그쳤던 점에 비춰보면, 2차 정상회담에선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진전을 전세계에 내보이는 게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 ‘협상을 통한 비핵화’에 대한 일부의 강한 우려를 불식할 수 있다. 물론 그동안에 북한 핵·장거리미사일 실험이 중지되고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엔진발사장을 폐쇄하는 성과가 있었지만, 그 이상의 비핵화 진전은 이뤄지지 못한 게 사실이다. 가장 큰 이유는 북한의 제한적 조처에 상응하는 미국의 의미 있는 행동이 없었기 때문으로 봐야 한다. 따라서 베트남 2차 정상회담에선 핵·미사일 실험 유예를 뛰어넘는 북한의 주요 핵시설 폐기·검증 약속과 이에 상응하는 미국의 과감한 관계 개선 노력을 서로 주고받는 게 꼭 필요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 국정연설에 맞춰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평양을 방문해 실무협상에 나선 건 눈여겨볼 만하다. 2차 정상회담 합의문의 기조를 평양에서 직접 조율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기대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영변 핵시설 폐기에 대응하는 미국 조처로는 연락사무소 개설이나 종전선언, 제재 완화 등이 거론되는데, 이 중 핵심은 경제제재 완화로 보인다. 북한은 비핵화 완료 전이라도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규모 경제 지원을 절실하게 원하고 있다. 미국도 최근 이 문제에서 유연한 태도를 보이는 만큼, 비건 대표의 방북 기간에 대략적인 의견 조율을 이루길 바란다.

2차 정상회담에 임하는 북한과 미국 두 나라의 의지는 강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 연설을 통해 정상회담 날짜를 공개한 점과 회담 장소가 베트남인 점은 그런 징표로 읽힌다. 새해 국정연설에서 정상회담 날짜와 개최국을 공개한 건, 내년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핵 문제 해결을 대외정책의 핵심 현안으로 삼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만큼 이번 회담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려 노력할 것으로 보여 긍정적이다.

미국과 전쟁을 치른 베트남에서 정상회담을 여는 것도 상징적이다. 두 나라가 증오를 딛고 국교 정상화를 했듯이, 한국전쟁 당사자인 미국과 북한 역시 ‘화해와 평화공존’으로 나갈 것이란 메시지를 전세계에 던진다. 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개혁·개방을 통한 경제발전의 비전을 사회주의 베트남에서 직접 받을 수도 있을 터이다.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를 위한 여정은 이미 역사의 레일 위에 올라섰다. 이 열차가 빨리 달릴 수 있게 2차 정상회담에선 가시적이고 뚜렷한 성과를 내길 간절히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