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2.28 18:42 수정 : 2019.02.28 19:00

3·1운동 100돌을 하루 앞둔 28일 오전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남북해외여성단체 및 연대단체 회원들이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3·1운동 100돌을 하루 앞둔 28일 오전 서울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남북해외여성단체 및 연대단체 회원들이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3·1운동 100주년을 하루 앞둔 28일, 남과 북 그리고 국외 여성단체들이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문제 해결을 일본 정부에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남북 정부 간 공동 행사는 열리지 못했으나, 여성들이 연대해 한목소리를 낸 것이어서 더욱 뜻깊다.

일본 위안부 문제에 대한 남북 공동 대응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1년 5월 도쿄 토론회에서 남북 여성 대표단이 만난 이후 여러 차례 연대해 국제 활동을 벌여왔다. 그러나 2014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교류가 끊겼다. 남북 여성의 연대 활동이 곧 남북관계의 바로미터인 셈이다. 이번 성명 발표가 한반도의 평화 기조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전시 성폭력 범죄에 대해 가해자의 진정한 사죄와 배상이 여태 이뤄지지 않은 현실이 새삼 무겁게 다가온다. 남쪽의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대표가 “우리는 아직 해방되지 않았다”고 한 것은 은유적 표현에 그치지 않는다. 전시 성폭력에 대한 국가 간의 미봉적 합의는 피해자를 억압의 굴레에 가두는 명백한 2차 가해다. 일본 정부는 2015년 박근혜 정부와 군사작전 하듯 만든 ‘12·28 합의’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

최근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이 빠르게 세상을 떠나고 있다. 남쪽 생존자는 현재 23명으로 줄었다. 북쪽 생존자는 이보다 훨씬 적을 거라고 한다. 남북 당국은 3·1운동 100주년을 계기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대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