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01 18:27 수정 : 2019.03.01 18:55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하노이/AP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하노이/AP 연합뉴스
기대를 모았던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엔 실패했지만 두 나라 모두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는 확인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 회담 결렬에도 불구하고 “김정은 위원장과 계속 좋은 관계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북한의 <노동신문>은 1일 북-미가 “생산적인 대화들을 계속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화답했다. 북-미가 다음 일정을 잡진 않았지만, 서로 비난을 자제하고 앞으로도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밝힌 것은 평가할 만하다.

실패한 정상회담은 없다는 속설이 있다. 그만큼 합의 무산은 충격이다. 당장 혼란을 털어내고 대화 재개에 나서기는 쉽지 않은 분위기다. 이는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김 위원장이 이런 조-미 거래에 대해 좀 의욕을 잃지 않을까 하는 느낌을 받았다”고 밝힌 대목이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대화 재개에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고 한 발언에서도 묻어난다. 그러나 냉각기가 너무 길어지면 자칫 대화 동력 자체가 약화될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루빨리 고삐를 다잡아 잠시 어긋난 대화 노선을 다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번 회담을 온전히 실패라고만 단정할 일도 아니다. 제재 완화와 비핵화를 둘러싼 이견을 서로 확인한 것은 오히려 소득이라 할 수도 있다. 북-미 간 연락사무소 개설 등에서 상당한 의견 접근도 이뤘다. 로널드 레이건 미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도 1986년 10월 레이캬비크에서 합의를 못했지만, 대화를 지속해 이듬해 12월 워싱턴에선 ‘중거리핵전력조약’(INF)에 합의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제 문재인 대통령의 ‘촉진자’ 구실이 더욱 긴요해졌다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트럼프 대통령도 합의 불발 뒤 문 대통령에게 전화해 “적극적인 중재를 해달라”고 했다. 김 위원장 및 트럼프 대통령과 적극 소통하면서 균형잡힌 절충안을 유도해내는 창조적인 중재자 구실을 해야 한다. 정부로선 당분간 북-미 대화가 주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만큼, 남북관계를 진전시켜 그 추동력으로 북핵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이끌어내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번 합의 무산에도 불구하고 애초 이르면 3월말~4월초로 예상됐던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대화 동력 확보 차원에서 추진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